조선 예조
배경
조선시대 행정기관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중 3순위로 높은 서열을 가지는 기관. 예악, 제사, 연향, 조빙, 학교, 과거등을 관정하던 기관으로서 고려 성종(961~997, 재위981~997)때인 982년(성종1년) 북주(557~581)의 관제를 참작하여 [예관]으로서 배경이 시작되고 995년(성종14년) 당나라(618~907)관제를 따라 상서성 [상서예부]로 개칭, 1275년(충렬왕1년) 원나라 간섭기에 본격적으로 접어듬에 따라 전리사로 통합되고 1356년(공민왕5년)예부로 회복된 후 1389년(공양왕 원년)에 [예조]로 개칭되면서 조선시대로 그대로 넘어온다. 3개의 부서와 30개의 속아문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1894년(고종30년)갑오개혁으로 기능이 분리되고, 학부와 외부가 예조의 기능을 이어가게 된다.
역할
고려시대 땐 예악, 제향, 조회, 학교, 과거, 교빙등의 역할을 맡게 하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405년(태종5년)엔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이 육조를 정2품 아문으로 승격시키면서 예악, 연향, 사제, 공거, 복축등을 맡도록 규정하고, 1485년(성종16년) [경국대전]에 조빙을 추가시켜 법제화 되기에 이른다.
예조 본청 구성
예조의 수장이자 책임자인 정2품 예조판서를 중심으로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품계 | 직위 | 비고 | |
당상관 | 정1품 | ||
종1품 | |||
정2품 | 판서 | 정원1인, 예조의 수장 | |
종2품 | 참판 | 정원1인, 판서 보좌 | |
정3품 상계 | 참의 | 정원1인, 판서 보좌 | |
당하관 |
정3품 하계 | ||
정4품 | |||
종4품 | |||
정5품 | 정랑 | 정원3인, 3부서(계제사, 전향사, 전객사)에 1명씩 배치 | |
종5품 | |||
정6품 | 좌랑 | 정원3인, 3부서(계제사, 전향사, 전객사)에 1명씩 배치 | |
종6품 | |||
정7품 | |||
종7품 | |||
정8품 | |||
종8품 | |||
정9품 | |||
종9품 |
부서
예조는 총3개의 부서가 존재한다.
I. 계제사(의식, 제도 사무 관장)
의식, 제도, 도회, 경연, 사관, 과거 표문과 전문, 천문, 책봉문, 제사, 사액, 장례등의 업무를 수행하던 부서.
II. 전향사(제사, 잔치 주관)
연회, 제사, 제사그릇, 음식물, 의약 담당 부서.
III. 전객사(사신 영접, 하사품 업무)
사신, 왜인, 야인들을 영접하고 조공을 하러오는 사신단의 연회를 열어주고 물품을 주는등의 업무 담당 부서.
예조 산하 기관(속아문)
예조의 업무는 육조중 범위가 가장 넓다.. 무려 30개의 속아문을 가지고 있다.
기능 | 비고 | |
홍문관 | 연구기관, 자문기관 | 언론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중 하나. 국왕의 언론, 자문, 경서등 담당 |
예문관 | 연구기관 | 국왕의 칙령, 교문 기록 담당 |
성균관 | 교육기관 | 관리양성을 위한 국립 교육기관(국비로 운영) |
춘추관 | 논의, 교명, 국사, 기록 담당 | |
승문원 | 외교 기관 | 외교문서 담당 |
통례원 | 의례 관장 기관 | 국가의 의례 관장 |
봉상시 | 제례 관장 기관 | 국왕의 묘호, 시호 제정 담당 |
교서관 | 서적 관리 기관 | 제사, 축하전문, 서적편찬, 서적관리 담당 |
내의원 | 왕실 의료 기관 | 궁중 약 조제, 백성 건강 관리 담당 |
예빈시 | 사신 접대, 종재 기관 | 사신의 접대, 집사들의 식사 제공 담당 |
장악원 | 궁중 음악 기관 | 공식행사 악, 무 담당 |
관상감 | 천문, 기상 기관 | 천문, 지리, 책력, 기상 담당 |
전의감 | 의약 기관 | 약제 공급, 제조 담당 |
사역원 | 외국어 교육 기관 | 통역, 번역 사무와 실무 담당 |
세자시강원 | 왕세자 교육 기관 | 왕세자 경서, 사적, 도의 강의 담당 |
종학 | 왕족 자제 교육 기관 | 왕족 자제들의 강의 담당 |
소격서 | 제사 기관 |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 담당 |
종묘서 | 능원, 종묘관리 기관 | 침묘, 정자각, 제기관리 기물 담당 |
사직서 | 사직의 유, 단 관리 기관 | 사직의 제사 단유의 청소 담당 |
빙고 | 얼음 관리 | 왕실, 관리들이 사용할 얼음의 관리 담당 |
전생서 | 동물 관리 기관 | 동물의 사육을 담당 |
사축서 | 가축 관리 기관 | 왕실에 쓰이는 가축 사육, 축산 담당 |
혜민서 | 의약, 질병 관리 기관 | 일반 서민의 치료, 약 처방, 질병관리 담당 |
도화서 | 그림 그리는 기관 | 국가가 필요로 하는 그림 그리기 담당 |
활인서 | 빈민 구제 기관 | 빈민구제, 치료, 배급, 사망자 매장 담당 |
귀후서 | 장례 기관 | 장례 절차에 필요한 물품 공급 담당 |
사학 | 교육 기관 | 중등 교육 담당 |
문소전 | 사당 | 국조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의 비 신의왕후 한씨 제 담당 |
연은전 | 세조의 장남 의경세자(1438~1457) 제 담당 | |
경기의 각 능 | 능 | 제 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