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기구/조선

조선 병조

Mintaka5 2025. 2. 19. 11:37
반응형

조선 병조

 

 

 

배경

조선시대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중 4번째순위를 가지고 조선의 국방을 담당하던 부처. 고려시대 성종(961~997, 재위981~997)이전에는 [병관]이라는 명칭을 썼고 성종 이후로는 [병부]로 쓰인다. 원나라 간섭기(1259~1356)땐 [군부사]로 격하되었다가 31대 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때 [병부], [군부사], [총부]등으로 여러번 바뀌었고 34대 공양왕(1345~1394, 재위1389~1392)대에 들어 [병조]로 개칭되고 조선이 건국되고 그대로 넘어온다. 무관 인사, 교통수단(말, 수레), 봉화, 역참, 의장, 경계등을 담당하는 현재의 국방부의 기능을 가진 국가부처이다. 

1894년(고종30년) 갑오개혁으로 [군무아문]으로 개편, 이후 [군부]로 개칭된다. 

 

 

역할

오늘날의 국방부에 해당하는 병조는 무관 인사, 교통수단(말, 수레), 봉화, 역참, 의장, 경계등의 업무를 주로 행해 온다. 사실상 국방 업무를 총괄하던 부서로서 1405년(태종5년)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이 육조를 정2품 아문으로 승격시키면서 군기를 맡던 승추부와 상서사의 전주권이 병조로 귀속되면서 병조의 틀이 잡히게 되고, 1485년(성종16년) [경국대전]으로 3개의 부서와 7개의 속아문으로 법제화되게 된다.

 

 

병조 본청 구성

병조의 수장이자 책임자인 정2품 병조판서를 주축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품계 직위 비고
당상관 정1품    
종1품    
정2품 판서 정원1인, 병조 수장
종2품 참판 정원1인, 이조판서 보좌
정3품 상계 참의, 참지 정원 각1인, 이조판서 보좌
당하관 정3품 하계    
정4품    
종4품    
정5품 정랑 정원3인, 3부서(무선사, 승여사, 무비사)에 각 1인씩 배치
종5품    
정6품 좌랑 정원3인, 3부서(무선사, 승여사, 무비사)에 각 1인씩 배치
종6품    

 

 

 

부서

I. 무선사(인사 행정 전반 담당)

무관 관리 인사 행정, 발령, 과거시험, 경비, 행정 사무 담당

 

II. 승여사(마정기구)

의장대, 군마(말) 관리, 보충대 편성

 

III. 무비사(병력, 군기 담당)

중앙, 지방 병사 명단, 훈련, 지도제작, 성보(임시요새작업), 봉화, 휴가등 행정 담당

 

 

병조 속아문

1405년(태종5년) 병조의 3부서 무선사, 승여사, 무비사가 지정될 때 이들의 산하기관으로 7개의 기관부서가 정해진다. 

  기능 비고
오위 중앙군 조선의 중앙군대
사복시 마구, 목축 담당 왕이타는 말, 수레 관리 담당
군기시 병기, 군수품 제조 담당 각종 군수물품 제조, 관리
전설사 행사, 의례에 쓰이는 물품 담당 궁중 행사, 의례에 쓰이는 천막, 장막 관리
세자익위사 왕세자 호위 담당 왕세자를 최측근에서 모시는 군대
훈련원 훈련 기관 무관 선발, 무예, 병법훈련 관장
비변사 군국기무 관장 외침이 있을시 편성된 임시 관청, 합의기관
반응형

'행정기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공조  (0) 2025.02.21
조선 형조  (0) 2025.02.20
조선 예조  (0) 2025.02.18
조선 호조  (0) 2025.02.16
조선 이조  (0)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