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12 34

예송논쟁(1차 기해예송, 2차 갑인예송)

예송논쟁(1차, 2차) 1차 예송논쟁2차 예송논쟁시기1659년(현종 원년)1674년(현종15년)발단내용1659년 효종 승하후 자의대비 조씨(1624~1688)가 입을 상복을 두고 일어난 논쟁 효종의 왕비 인선왕후 장씨(1619~1674)의 국상에 자의대비 조씨(1624~1688)가 입을 상복을 두고 일어난 논쟁  1. 기해예송(1차 예송논쟁)배경조선 17대 왕 효종(1619~1659, 재위1649~1659)이 1659년 승하하면서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 조씨(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1624~1688)의 복상기간(상복 입는 기간)을 기년복(1년)으로 할지 참최복(3년)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다. 서인과 남인은 이 논쟁에서 서인은 효종을 둘째 아들로 인식하여 기년복(1년)을 주장하고, 남인은 효종이 둘..

좌의정 민제

민제, 1339~1408  출생1339년 아버지 민변(?~1377)과 어머니 양천 허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고려의 유력한 집안이였던 여흥 민씨의 수장격 인물. 8명의 자식(4남 4녀)모두 역사속에 나오는 인물들과 혼인하였고 특히 3녀는 미래 태종의 왕비인 원경왕후(1365~1420)로서 민제는 조선3대 태종의 장인이 된다. 휘생몰년도비고장녀?1355 ~ ?평원군 조박(영의정 조준의 7촌조카, 1356~1408)과 혼인, 슬하1남1녀차녀?1357 ~ ?완산부원군 이천우(이성계의 조카, 1354~1417)와 혼인, 슬하3남3녀원경왕후 민씨1365 ~ 1420조선3대 태종의 왕비로 슬하4남4녀, 조선4대 세종의 어머니장남민무구1369 ~ 1410찬성사 권현의 딸과 혼인, 슬하1남차남민무질1372 ~ 1410..

좌의정 배극렴

배극렴, 1325~1392  출생1325년 고려 경상도 경산부 성산현 성주읍(현 경북 성주군)에서 아버지 배현보(?~?)와 어머니 성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여말선초 관리로 조선의 초대 좌의정까지 지낸다.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된 대신으로서 고려말기 문하우시중으로서 이성계의 핵심세력이였던 정도전(1342~1398), 조준(1346~1405)등과 함께 고려 마지막 군주 공양왕(1345~1394, 재위1389~1392)을 폐위시키고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를 추대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한 인물.고려때부터 왜구를 격파하는등 명성이 높았는데, 1388년 이성계와 조민수(1324~1391)가 요동에 출병할 때 우군도통수 이성계의 휘하 장수로 참여하여 위화도회군에도 참여하였다. 이..

암행어사

암행어사, 프 : inspecteur royal secret, 영 : secret royal inspector 배경조선시대때 군주의 최측근이자 특명을 받은 암행사신으로서 비밀리에 지방에 파견되어 임무를 수행한 직급. 지방관들의 부정, 부패 또는 백성들의 고충, 어려움등을 파악하고 이를 빠르게 왕에게 알리는 것을 그 1임무로 했고 이들은 왕이 비밀리에 임명했던 직급이기에 다른 관직과 달리 비밀리에 임명이 이루어지고 임무또한 비밀이였던 것이 특징.최초로 암행어사라고 말이 쓰인 때는 1555년(명종10년)이고 실질적으로는 확실치는 않지만 16세기 초반 중종무렵인것으로 확인된다. 어사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때는 1455년(세조원년)에 세조가 시행한 분대어사가 그 근본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정3품 하계 당하관..

행정기구/조선 2024.12.17

남명 조식

조식, 1501~1572   출생1501년 조선 경상도 합천 삼가현(현 경남 합천군 삼가면)에서 아버지 조언형(1469~1526)과 어머니 인천 이씨(1476~1545)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남.  배경관직에 전혀 나아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하는데 평생을 쏟은 대 학자. 학자로서 성리학, 천문학, 역학, 지리학, 군사학등에 다방면으로 비상한 재주를 가지고 있어서 그 재주를 탐낸 명종(1534~1567, 재위1545~1567),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등이 조식에게 관직을 제안하지만 거의 다 거절하고 후학을 양성하고 계속해서 학문연구에 매진한다.아버지 조언형은 문과에 급제함으로서 한양의 부친의 집에서 생활하면서 학문을 닦아 그곳에서도 여러 인물들과 교제하고 사림의 대표적인물로서 퇴..

영의정 이양원

이양원, 1526~1592  출생1526년 아버지 이학정(?~?)과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명종(1534~1567, 재위1545~1567)대 1556년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대에 주로 활동하던 관리. 전주 이씨 왕족 출신으로서 2대 정종(1357~1419, 재위1398~1400)의 7남 선성군(1392~1460)의 4대손이다. 1563년(명종18년) 명나라 서장관으로서 종계변무사로 임명되어 명나라로 가서 [태조실록], [대명회전]등에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의 아버지가 고려말기 권신 이인임(1312~1388)으로 잘못 기재되어있는 것을 이성계의 친부인 이자춘(추존 환조, 1315~1360)으로 수정하고 돌..

79대 영의정 노수신

노수신, 1515~1590 재임기간군주79대 영의정1585. 05 ~ 1588. 06선조18년 ~ 선조21년  출생1515년 조선 경상도 상주(현 경북 상주시)에서 아버지 노홍(1496~1568)과 어머니 성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중기때 활동한 성리학자. 사림파이며, 이연경(1484~1548)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고 1543년 식년문과에 급제한 이후 조정에 들어오지만 들어오자마자 1545년 을사사화, 1547년 양재역벽서사건에 연루되어 20년에가까운 시간을 유배살이를 하다가 1567년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즉위하고 유배가 풀려 다시 기용되어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까지 이르게 된다. 그러나 운이없겓도 1589년 영중추부사를 역임하고 있을 당시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118대 영의정 김자점

김자점, 1588~1652 재임기간군주118대 영의정1646 ~ 1649인조23년 ~ 인조26년  출생1588년 조선 전라도 낙안(현 전남 순천시)에서 아버지 현감 김탁(?~?)과 유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단종 복위 운동에 참여했다가 배신한 김질(1422~1478)의 5대손.서인이며 문,무에 능통한 인물로서 1623년 인조반정때 이귀(1557~1633), 김류(1571~1648)등과 함께 인조편에서서 도왔던 반정공신이자 유능한 관리. 이괄(1587~1624)이 인조반정때 논공행상의 불만을 품고 이괄의 난(1624)을 일으켜 위기가 닥쳤을 때 관련될 인물들을 미리 정리하는등 효과적으로 도모하여 사건의 확산을 막았지만, 1636년 평안도에 도원수로서 군 정비로 파견가있을 때 병자호란이 닥치지만 크게..

44대 영의정 노사신

노사신, 1427~1498 재임기간군주44대 영의정1495. 04 ~ 1495. 10연산군1년  출생1427년(세종9년) 아버지 노물재(?~1446)와 어머니 청송 심씨(소헌왕후의 여동생)사이에서 셋째아들로 태어남. 배경외가쪽으로는 세종대왕(1397~1450, 재위1418~1450)의 처조카, 영의정 심온(1375~1419)의 외손자(노사신의 어머니가 소헌왕후의 여동생)이기도 하고, 친가쪽으로는 할머니가 여흥 민씨로서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의 왕후 원경왕후(1365~1420)의 여동생. 이중 사돈인 셈으로 혈통으로 치면 친가와 외가모두 왕실과 연결된 셈.훈구파의 원로격으로 단종대에 급제해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대까지 줄곧 관직생활을 하며 연산군대에 정1품 영의정에 이른다. ..

14,17대 영의정 류정현

류정현, 1355~1426 재임기간군주14대 영의정1416 ~ 1418태종16년 ~ 세종원년17대 영의정1418 ~ 1424세종원년~ 세종6년   출생1355년(공민왕4년)에 아버지 류진(?~?)과 어머니 청주 정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여말선초 정치인. 고려 말기 음서로 관직에 진출해있다가 조선 건국(1392)이후 다시 조선의 관리로서 직무를 다하고 정1품 영의정에까지 이르고 2회에 걸친 영의정직으로 태종~세종재위기간에 걸쳐 조선 건국 이후 수성기 시기에 중직을 맡아 조선의 문화, 정치의 기틀을 닦은 인물.    관직고려말기엔 음서로 진출한다. 고려-몽골 전쟁당시 고종(1192~1259, 재위1213~1259), 원종(1219~1274, 재위1259~1274), 충렬왕(1235~1308, 재위127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