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122

관찰사와 감영(조선)

종2품 관찰사조선시대때 지방행정, 감찰, 군사지휘를 맡은 종2품 지방행정장관.    대한민국 중앙행정부대한민국 지방행정(지자체)정1품당상관영의정, 좌의정, 우의정국무총리 종1품좌찬성, 우찬성부총리, 감사원장 정2품6조판서, 좌참찬, 우참찬국정원장, 각 부처 장관서울특별시장종2품6조참판, 관찰사, 대사헌각 부처 차관도지사, 광역시장, 서울부시장이해를 더 쉽게 돋구기위해 본인이 썼던 표중 일부를 발췌해온 것.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행정부와 지방행정(지자체)체제에 관찰사 직급이 어느정도에 위치하는지 비교하기위한 것이니 활용하길 바람.  배경중앙정부의 통치력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했던 고려시대(918~1392)때, 지방을 감시하며 감찰하여 관리들을 단속하기 위해 순찰을 시켰던 직책인 안찰사()에서부터 비롯되었다...

행정기구/조선 2024.10.28

신라 왕 계보

신라 왕 계보신라 왕은 56대 992년(BC57~935)간 유지된 괘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 신라의 군주를 칭함. 역사상 천년(1000년)동안 지속된 왕조는 동로마제국(330~1453)과 신라왕조 둘이라고 한다.군주의 호칭또한 여러가지가 존재하는데 [거서간▶차차웅▶이사금▶마립간▶왕] 의 순서로 바뀌었다. 국가가 성장하면서 계층이 나뉘는 점에서 당시 제사장겸임이던 정치적 우두머리가 기능을 분리시키게 되면서 나뉘게 된 것. 왕으로 변화한 시점은 중앙집권화를 추진하게되면서 바뀌는데 '왕'칭호를 처음 쓴 군주는 지증 마립간(437~514, 재위500~514)으로 재위3년인 503년에 첫 시행.그리고 천년 역사속 3명의 여왕이 등장하는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647, 재위632~647)과 진덕여왕(?~..

고구려 왕 계보

고구려 왕 계보고구려 왕은 28대 705년(BC37~668)간 유지된 고대 한국 삼국시대때 국가의 군주를 칭함.김부식의 삼국사기[1145(인종23)]를 인용함. BC 37년 고주몽이 이끄는 졸본세력과 조선유민세력(고조선 유민)이 규합해 졸본땅에 고구려가 건국. 왕명휘생몰년도 (재위)재위기간비고, 키워드1대동명성왕고주몽BC 58 ~ BC 19 (BC37~BC19)18년국조 '추모성왕'2대유리명왕고유리BC 38 ~ 18 (BC19~18)37년1대 동명성왕의 아들3대대무신왕고무휼4 ~ 44 (18~44)26년2대 유리명왕의 셋째 아들4대 민중왕고해색주? ~ 48 (44~48)4년2대 유리왕의 다섯째 아들5대모본왕고해우? ~ 53 (48~53)5년3대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왕자의 형제6대태조왕고궁53 ~ 165..

조선의 품계와 현재직급별 비교

조선의 품계품계는신하들의 계급도를 나타낸 지표로,  조선시대(1392~1910)에서는 6품이상만 품계마다 상계, 하계를 두어 전체 18품30계로 구성. 정1품 상계 대광보국숭록대부부터 정3품 상계 통정대부까지 9품계를 '당상관'이라 하고, 정3품 하계 통훈대부이하에 속한 품계를 '당하관'이라 한다.  대한민국의 중앙행정체제현 19부 3처 19청으로구성되어있음.  직급 비교I. 조선 문관과 비교   조선(문관)중앙행정부지방행정(지자체)입법부사법부검찰  왕대통령    정1품당상관 ㆍ영의정ㆍ좌의정ㆍ우의정 국무총리   국회의장 ㆍ대법원장ㆍ헌법재판소장  종1품 ㆍ좌찬성ㆍ우찬성 ㆍ부총리ㆍ감사원장   ㆍ국회부의장ㆍ국회의원   정2품 ㆍ6조 판서ㆍ좌참찬ㆍ우참찬ㆍ대제학 ㆍ국정원장ㆍ각 부 장관ㆍ각 위원회장 ㆍ서울..

행정기구/조선 2024.10.25

의정부, 승문원

의정부(1400~1894, 1896~1907)조선시대 행정관청중 가장 높은 등급 정무기관이자 최고 의결기관으로 고려의 제도를 계승. 1279년(충렬왕5년)에 원간섭기로 관제 격하로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뀐다. 이후 1390년(공양왕1년)에 관제 개편으로 조직이 재정비되고 조선 건국 후에 의정부로 개편된다. 태조(1335~1408, 재위1392~1398)가 조선을 창업하면서 의정부 서사제(6조판서→의정부3정승→국왕)를 실시. 1414년(태종14년) 육조직계제(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수장 판서들은 상급기관 의정부를 거치치 않고 왕에게 직통 보고: 6조판서→왕)가 실시되며 왕권강화를 도모한다.이후로도 4대 세종(1397~1450, 재위1418~1450)이 의정부 서사제로 돌렸다가..

행정기구/조선 2024.10.24

승정원,춘추관,성균관

행정기관 승정원춘추관성균관빠른설명왕명출납 담당 행정기관(현재의 대통령비서실)시정 기록들을 관장한 행정기관(현재의 국가기록원)국립 교육기관(현재의 성균관대학교)**현 성균관대학교는 사립 종합 대학이다. I. 승정원(1400~1894)현재의 대통령비서실에 해당하는 군주의 비서기관. 군주가 내리는교지, 상소등이 승정원을 거쳐서 전달되었기에 상당히 핵심적인 기관. 태조원년인 1392년 중추원()에 도승지를 장관으로 삼은게 밑바탕이였고,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대에 들어 1405년(태종5년)에 별도의 승정원을 두면서 독립 관서로서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1433년(세종15년) 승정원 제도가 완비됨에 따라 6승지체제로 운영되며 1485년(성종16년) 경국대전에 이 체제가 그대로 등재되면서189..

행정기구/조선 2024.10.24

고려, 조선 군주의 묘호&시호

묘호군주가 죽은후 살아생전 공덕을 기려 붙인 이름.  배경유교식 왕실 예법으로 고,중,근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방식. 전임 군주가 승하하고 새로이 즉위하는 군주가 승하한 군주에게 조(祖) 또는 종(宗)이라는 형식으로 묘호를 올렸다. 조(祖)의 경우에는 창업군주또는 아주 위대한 천자(황제)에게만올렸던 묘호. 처음으로 묘호가 쓰이던 국가는 상나라(BC1600~BC1046)삼국시대때 유일하게 정식으로 묘호를 사용한 군주는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604~661, 재위654~661)이다. 고려의 경우에는 창업군주인 왕건(태조, 877~943, 재위918~943)에게만 조(祖)가 붙고 나머지 군주는 종(宗)이 붙는데 고려때는 외왕내제(대외적으론 왕, 내적으론 황제로 내세우는 체제)가 자리잡으면서 본격적으로 묘..

행정기구/조선 2024.10.23

성혼

성혼(Seong Hon, 1535~1598)  출생1535년 조선 한성부 순화방에서 아버지 성수침(1493~1564)과 어머니 파평 윤씨사이에서 독자로 태어남. 배경아버지 성수침 밑에서 학문을 배우고, 백인걸(1497~1579)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이 때 평생 친구가 되는 율곡 이이(1536~1584)를 만나게 된다. 서인의 대표적인 인물. 1590년 좌찬성으로 공식 은퇴하지만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면서 다시 복귀하게 되는데.. 초년현량과로 천거되었지만 기묘사화(1519)이후 벼슬을 사양했던 아버지 성수침의 독남으로서 은거했던 아버지 아래에서 학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휴암 백인걸(1497~1579)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운다. 백인걸은 사림파였던 조광조(1482~1520)의 제자. 그러다가..

김일손

김일손(Kim il son, 1464~1498)  출생1464년 조선 경상도 청도군에서 아버지 김맹(1410~1483)과 어머니 용인 이씨 사이에서 3남중 막내로 태어남.  배경1498년 스승인 김종직(1431~1492)이 쓴 조의제문으로 인한 발단으로 일어난 무오사화로 처형을 당하는 인물.  초년1471년 아버지 김맹이 예문관 봉교(정7품)로 부임하면서 큰형 김준손(1454~1508), 작은형 김기손(1456~1493)과 함께 옥수정사에서 학문을 배웠다고 전해진다. 1478년(성종9년) 14세가 되던 무렵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 아버지 김맹(1410~1483)은 종3품 사헌부 집의까지 오르는 중신이였는데, 1480년 김맹이 노환으로 병져누우면서 고향인청도로 가족모두가 내려가 이곳에서 이맹전(생육신중 ..

김굉필

김굉필(Kim Koeng-pil, 1454~1504)  출생1454년 조선 한성부 정동에서 아버지 김유(?~1487)와 어머니 청주 한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전기의 유학자로서 한훤당이라는 호로 더 잘알려진 인물. 1474년 함양군수로 있던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인연이 된다. 소학동자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소학에 심취했었다. 말년에 두번의 거친 사화(무오, 갑자)로 인해 그 운명을 달리하는 인물. 초년할아버지가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반(1341~1401)의 사위가 되어 한성부 정동에서 살게 되면서 김굉필이 이곳에서 태어나게 된다. 보통의 시기보다 늦은 수학시기(20세)를 가지는데, 20세인 1474년 김종직(1431~1492)의 문하에 수학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