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123

우의정 송시열

송시열, 1607~1689  출생1607년 충청도 옥천군에서 아버지 송갑조(1574~1628)와 어머니 곽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조선 중기 성리학자로서, 17세기 당대의 성리학자로 칭송받으며 이름을 높였던 대가이다. 노론의 영수로서 조선 후기를 사실상 판가름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영향력이 큰 인물이였는데, 긍정적인 평가도 많지만 주로 부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며 당파 대립을 격화시켰다는 것과 지나치게 성리학적인 원리를 고집해 정작 조선의 현실에 제대로 적용하지 못했고, 강직한 성격에 군주들에게도 미움을 많이받았다. 나무가 너무 단단하면 끊어진댔던가, 1689년(숙종15년)에 일어난 기사환국으로 82세의 나이로 사사된다.  대가의 어린시절초명은 성뢰(성인이 주신 아들, 아버지 송갑조가 꿈속에서 공..

조만영

조만영, 1776~1846  출생1776년 아버지 조진관(1739~1808)과 어머니 남양 홍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배경풍양 조씨가문으로 수대에 걸쳐 고위직이 배출되었으며, 조만영의 조부는 정2품 조엄(1719~1777)으로 조선에 고구마를 들여온 인물이다. 노론 벽파 출신으로서의 아버지 조진관은 정2품 판서직을 역임하면서 정조(1752~1800, 재위1776~1800)승하후 순조(1790~1834, 재위1800~1834)대에 들어 눈에 띈다. 조만영의 딸(추존 신정왕후)이 1819년 효명세자(추존 문조, 1809~1830)의 세자빈으로 입궁하게되고 이후 신정왕후가 이환(미래의 헌종, 1827~1849, 재위1834~1849)을 낳게되면서 조만영은 헌종이 1834년 즉위하게 되면서 왕실의 외척이..

임오화변

임오화변, 1762이는 사도세자 사망 사건으로 알려져있다.  배경I. 축복 속 세자책봉사도세자의 어머니는 영빈 김씨(1696~1764)로, 1726년(영조2년)에 영조의 승은을 입어 종2품 숙의에 봉해지면서 정식으로 영조의 후궁이 된다. 아래 표는 영조(1694~1776, 재위1724~1776)와 영빈 김씨 소생의 자녀들 목록이다. 생몰년도비고화평옹주1727 ~ 1748금성위 박명원(1725~1790)과 혼인화협옹주1733 ~ 1752영성위 신광수(1731~1775)와 혼인사도세자1735 ~ 1762조선 세자, 1736년 책봉화완옹주1738 ~ 1808정후겸(1749~1776)의 양어머니사도세자의 본명은 '이선'으로 어머니 영빈 김씨가 후궁이였으므로 후궁 소생의 자식으로 서장자로 태어나지만 이복 형 효장..

정도전

삼봉 정도전, 1342~1398  출생1342년 고려 양광도 단양(현재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아버지 형부상서 정운경(1305~1366)과 어머니 영주 우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우로는 정도존, 정도복이 있다.  배경여말선초 유학자, 혁명가, 설계자로 조선이라는 국가의 근간을 정도전이 만들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인물이다. 성리학을 장려한 고려의 몇 안되는 시조급 유학자이며 당시 전횡을 일삼던 권문세족에 대항해 원나라와의 단교, 명나라와의 외교를 주장하면서 수많은 파직과 복직을 당하면서 야인으로 살아가다가 운명적으로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를 만나게 되면서 인생이 바뀐다. 이후 이성계, 정몽주(1338~1392)등과 함께 1388년 우왕(1365~1389, 재위1374~1388),..

가쓰라-태프트 밀약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1905년에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 일제의 대한제국 지배권을 상호 승인하는 회담내용을 담은 기록으로 1924년 세상에 알려지기까지 극비리에 진행된 밀약이다. 가쓰라-태프트 밀약은 일제 수상 가쓰라 다로(1848~1913)와 미합중국 전쟁부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Wiliam Howard Taft, 1857~1930, 대통령재임1909~1913)사이에서 이루어졌다.  배경러일전쟁(1904~1905)이 끝나갈 무렵인 1905년 7월, 일본이 우위를 차지해 사실상 승리가 확정되던 시점에 전쟁으로 막대한 재정을 쏟은 일제는 대한제국의 보호권을 열강들로부터 확실하게 인정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였다. 당시 미국은 일제에 호의적인 입장(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매우경계한 미국)으로 마침..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1882년(고종18년)5월, 조선과 미국간에 조인된 수호 통상 조약으로 조선 제물포(현재 인천광역시 제물포)에서 조선 전권대신 신헌(1810~1884), 김홍집(1842~1896)과 미국 전권위원 로버트 윌슨 슈펠트(Robert Wilson Scufldt, 1822~1895)간에 체결된 통상 조약이다.  배경1854년 페리 제독(Matthw Perry, 1794~1858)이 미일조약으로 첫 개항을 할 당시 조선은 문이 굳게 닫혀있는 쇄국정책을 하고있었다. 1866년 제너럴셔먼호 사건이후 미국은 조선이라는 나라를 개항하는 문제에 관심을 보여 다음해 1867년 로버트 윌슨 슈펠트가 직접 조선을 탐문하며 조선을 개항시킬 계획을 수립하며 그 야욕은 1871년 신미양요를 통해 성취하..

회니시비

회니시비조선 제19대 임금 숙종(1661~1720, 재위1674~1720)대에 있던 서인 내 사상분쟁. 간단하게 송시열과 윤증의 절교. 송시열은 충청도 회덕(현재의 대전)에 살았고, 윤증은 충청도 이산(현재의 논산)에 살았어서 회덕과 이산의 앞글자를 따서 회니시비라고 불려진다. 배경서인의 영수였던 우암 송시열(1607~1689)과 송시열의 제자였던 윤증(1629~1714)은 1669년(현종10년) 아버지인 윤선거(1610~1669)가 사망하면서 스승 송시열에게 묘갈명(비문)을 부탁하게 되는데, 송시열은 윤선거가 사망하기전 윤증과 학문적문제 대립, 예송논쟁 당시 윤휴의 의견을 두둔하면서 이미 사이가 많이멀어진 상태였다. 그래서 송시열은 윤선거에 대한 비판적 내용(예를들면 병자호란때 강화도에서 비겁하게 살아..

강화도 조약

강화도 조약(1876)'조일수호조규'로도 불리는 강화도 조약은 1876년(고종12년) 조선과 일제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조선에)조약이다.  배경1860년대 이후부터 조선 연안에 외국 이양선들이 출몰해 통상을요구하며 이에 불응할 시 약탈과 방화를 저지르는 야만적인 행태로 이어졌는데, 1864년 조선25대 임금 철종(1831~1864, 재위1849~1864)이 승하하고 26대 고종(1852~1919, 조선재위1864~1897, 대한제국재위1897~1907)이 즉위하지만 만12세의 어린나이로 아버지 이하응(흥선대원군, 1821~1898, 섭정재임1864~1874)이 섭정이되어 조선을 통치하게 된다. 흥선대원군은 조선 외적으로 개항을 요구하는 열강들에 대해 강경정책으로 대응하는데 이것이 흥선대원군의 대표적 외교..

예문관, 교서관

예문관과 교서관예문관은 조선시대(1392~1910)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이며 예조의 속아문으로 국왕의 말이나 명령을 담은 문서를 작성또는 담당하던 관서이다. 교서관은  책을 만들고, 제사관장, 축하연등을 관장하는 기관으로서 1393년(태조1년)에 만들어진 기관으로 초기이름은 교서감이였다.  I. 예문관 배경I-1. 역사고려시대때 예문춘추관이 1325년(충숙왕12년)에 춘추관과 분리되면서 예문관으로 불리다가, 1356년(공민왕5년) 한림원으로 재개칭(이전에도 한림원으로 썼음), 1362년(공민왕11년)에 예문관으로 바꿨다가 1389년(공양왕 원년)에 춘추관과 다시 합해져 예문춘추관으로 개편되면서 조선건국이후에도 이어졌다. 1392년 조선 건국 이후 1401년(태종1년)에 다시 춘추관과 분리되면서 예문관으..

행정기구/조선 2024.11.07

관찰사

관찰사조선시대(1392~1910)에 각 도의 지방을 관할하던 종2품의 지방장관으로 현재의 도지사와 매우 유사하다. 관찰사는 종2품 외관직으로 임기는 1년(1669년 이후 2년)이였다.  배경I. 고려시대(918~1392)고려시대 안렴사(1276)로부터 비롯된 직책으로 원래는 안찰사였다가 안렴사로 개칭된 것. 고려시대 안렴사는 조선시대 관찰사와는 달리 상주하는 관청없이 지방을 순찰하는 순찰직이라 임기도6개월정도로 짧아 그저 머물러가는 직책정도였다. 거기다가 낮은 품계(4품 이하)로 인해 순찰나가봤자 자기보다 품계가 높은 지방관들앞에선 직무를 수행하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1388년(창왕 원년)에 안렴사를 도관찰출척사로 바꾸고, 임기를 기존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시키고, 기존에 4품이하의 낮은품계의 낮은 관..

행정기구/조선 2024.11.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