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진왜란 11

영의정 이양원

이양원, 1526~1592  출생1526년 아버지 이학정(?~?)과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남. 배경명종(1534~1567, 재위1545~1567)대 1556년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대에 주로 활동하던 관리. 전주 이씨 왕족 출신으로서 2대 정종(1357~1419, 재위1398~1400)의 7남 선성군(1392~1460)의 4대손이다. 1563년(명종18년) 명나라 서장관으로서 종계변무사로 임명되어 명나라로 가서 [태조실록], [대명회전]등에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1392~1398)의 아버지가 고려말기 권신 이인임(1312~1388)으로 잘못 기재되어있는 것을 이성계의 친부인 이자춘(추존 환조, 1315~1360)으로 수정하고 돌..

우의정 김명원

김명원, 1534~1602  출생1534년(중종28년) 아버지 김만균(?~1549)과 어머니 순흥 안씨 사이에서 2남2녀로 태어남.  배경퇴계 이황(1502~1571)의 문하생으로 수학했다. 1561년 관직에 진출한 이후부터 철저함을 갖춘 꼼꼼한 성격에 강직함까지 갖춰 행정업무에 있어서 빈틈이 없었고 다양한 요직들을 고루 거치며 1583년 니탕개의난, 1589년 발생한 정여립의 난으로 일어난 기축옥사를 잘 수습했다는 평을 받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도원수로서 방어임무를 맡지만 전투지휘에서는 크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한다.  관리김명원은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가서 수학한 뒤 1561년 식년문과 3위로 급제하면서 관리가 된다.  직위소속, 기타1561년식년문과 갑과 3위 ..

좌의정 정탁

정탁, 1526~1605출생1526년(중종20년) 경상도 예천에서 아버지 정이충(?~?)과 어머니 평산 한씨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남. 배경선조(1552~1608, 재위1567~1608)가 이순신을 죽이려고 할 때 상소를 올려 저지시켜 이순신(1545~1598)을 구명한 인물. 퇴계 이황(1502~1571)과 남명 조식(1501~1572)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다방면으로 능통한 수재형 인물로 심지와 지조가 굳고 인품이 넉넉해서 동인출신이지만 서인들과도 사이가 좋았다고 한다. 1592년 임진왜란발발 당시 종1품 좌찬성으로 선조를 의주까지 호송하고, 최대한 전쟁수행을 할 수 있게끔 현재도 거론되는 무관들을 천거하는등 다방면으로 임진왜란을 해결하기위해 노력하고 이후 좌의정에 재수되지만 사양한다. 관리1552년 ..

성혼

성혼(Seong Hon, 1535~1598)  출생1535년 조선 한성부 순화방에서 아버지 성수침(1493~1564)과 어머니 파평 윤씨사이에서 독자로 태어남. 배경아버지 성수침 밑에서 학문을 배우고, 백인걸(1497~1579)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이 때 평생 친구가 되는 율곡 이이(1536~1584)를 만나게 된다. 서인의 대표적인 인물. 1590년 좌찬성으로 공식 은퇴하지만 1592년 임진왜란이 터지면서 다시 복귀하게 되는데.. 초년현량과로 천거되었지만 기묘사화(1519)이후 벼슬을 사양했던 아버지 성수침의 독남으로서 은거했던 아버지 아래에서 학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휴암 백인걸(1497~1579)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운다. 백인걸은 사림파였던 조광조(1482~1520)의 제자. 그러다가..

81, 88대 영의정 이산해

Lee San-hae, 1539~1609 재임기간군주81대 영의정1590.03 ~ 1592.06선조23년 ~ 선조25년88대 영의정1600.03 ~ 1600.06선조33년출생1539년 조선 한성부에서 명종대 문신인 아버지 이지번(1508~1575)과 어머니 의령 남씨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조선 중기 문신으로서 여러 직책을 거쳐 정1품 영의정에 오른 동인출신 인물로 정철(1536~1593)처분에 따른 분열로 남인(정철 살리자 온건파)과 북인(정철 처형파)으로 갈릴 때 북인의 영수가 된 인물. 임진왜란(1592~1598)이 터지면서 선조를 피난시키는 등의 일을 담당하지만 왜란전 나라를 그르치고 왜적이 침입하도록 했다는 명목으로 탄핵을 받아 파면된다.  어린시절 목은 이색(1328~1396)의 후손으로 한성부..

5선 영의정 이원익

Lee Wonik, 1547~1634 대수재임기간군주영의정 재임851598. 11 ~ 1599. 07*선조31년 ~ 선조 32년871599. 11 ~ 1600. 02선조32년 ~ 선조 33년941608. 03 ~ 1609. 09*광해군 원년 ~ 광해군1년961611. 09 ~ 1612. 07광해군3년 ~ 광해군4년1011623. 04 ~ 1627.01인조 원년 ~ 인조4년*선조(1552~1608, 재위1567~1608), 광해군(1575~1641, 재위1608~1623)출생1547년 조선 경기도 금천현 서면(현 경기도 광명시)에서 아버지 이억재(1503~1585)와 어머니 동래 정씨 사이에서 태어남.  아버지 이억재는 왕실 종친으로 종2품 하계 정의대부에 봉해진인물. 이원익은 전주 이씨 왕실 종친으로 태..

82대, 84대 영의정 류성룡

Ryu Seong-ryong, 1542~1607, 영의정재임1592, 1593~1598  출생1542년 조선 경상도 의성현(현 경북 의성군)에서 아버지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1515~1573)과 어머니 안동 김씨사이에서 태어남. 위로는 형 류운룡(1539~1601)이 있다. 배경임진왜란이라는 전시상황에서의 영의정으로서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를 보필하고 전쟁을 수행하면서 국난을 극복하게끔 한 장본인이다. 여러 평가가 나뉘지만 전란의 위기의 조선을 구했다는 평가가 후에 이루어졌다.  역시 천재는 때깔부터 다르네..퇴계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뛰어난 머리로 이황에게도 높이 평가받으면서 학문을 익히다가 1564년 생원,진사(소과)가 되어 1565년 성균관에 들어가서 1566년에 별시 문과..

89대, 91대 영의정 이항복(오성)

Lee Hang-bok, 1556~1618, 영의정 재임1600~1602, 1604출생1556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참찬 이몽량(1499~1564)과 어머니 전주 최씨(?~?)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전래동화 오성과 한음에서 오성역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오성은 이항복의 작위인 오성부원군에서 따온 것. 이항복의 호는 명보. 1580년 과거급제부터 평생의 동지가 된 이덕형과 영혼의 단짝. 당색은 비록 달랐지만 끝까지 우정을 지키며 서로를 위해줬던 진정한 영혼의 단짝. 말년엔 광해군 즉위이후 임해군(1572~1609)사사문제, 인목대비(1584~1632) 폐위건, 영창대군(1606~1614) 사사문제 등으로 피곤한일들이 많았고, 유배를 갔다가 유배지에서 사망한다. 같이 일하재이? 아버지 이몽량(1499~156..

90, 95, 97대 영의정 이덕형(한음)

Lee Deok hyung, 1561~1613출생1561년 조선 한성부에서 아버지 정2품 지중추부사 이민성(?~?)과 어머니 문화 류씨(?~?)사이에서 태어남.  배경전래동화 오성과 한음에서 한음역에 해당하는 인물. 호가 한음이라.. 이덕형의 절친인 오성에 해당하는 이항복(1556~1618)은 호가 오성이아니라 오성부원군 작위에서 따온 것 호는 명보.  다양한 직위를 역임했던 문신으로서 임진왜란, 정유재란때에 명나라 접반관으로서 동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전란후 영의정으로 민심수습, 국가정비에 총력을 기울이며 전란후 국가를 재건하는데 힘씀.그러나 말년에 절친 이항복과 함께 영창대군 처형과 인목대비 폐위을 반대하다가 북인의 탄핵을 받고 삭탈관직되고 사저로 돌아간 이덕형은 이듬해 사망.   너무 빠른데? ..

14대 선조

Seonjo de Joseon, 1552~1608, 재위1567~1608출생1552년 조선 한성부 인달방 도정궁(덕흥대원군 사저)에서 아버지 덕흥군(중종의 8남, 1530~1559)과 어머니 하동부대부인 정씨(정인지의 딸, 1530~1567)사이에서 3남으로 태어남. 위로는 형 하원군(1545~1597), 하릉군(1546~1592)이 있다. 본명은 이균→이연. 배경조선건국이후 최초의 방계출신이자 서자출신 왕이다. 숙부 명종(1534~1567, 재위1545~1567)이 후사없이 승하하면서 하성군(선조의 즉위전 봉호)이 명종의 양자로 입적하여 재위에 오르게 된다. 재위기간동안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을정도로 정계가 시끄러웠고, 더욱이 임진왜란이 터지면서 조선 건국 200년만에 위기를 맞게 된다. 아 좀 딸리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