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군주/고려의 군주 35

20대 신종

신종(Sinjong de Goryeo, 1144~1204, 재위1197~1204)  출생1144년 고려 개경 정궁에서 아버지 인종(1109~1146, 재위1122~1146)과 어머니 공예왕후 임씨(1109~1183)사이에서 5남으로 태어났고 휘는 '탁'이다. 신종의 위로는 첫째형 의종(1127~1173, 재위1146~1170)과 둘째형 명종(1131~1202, 재위1170~1197)이 있다.  배경신종은 형 명종이 최충헌의 난으로 혼란한 틈을 타 상황을 반전시키려다 걸려 폐위당하면서 최충헌(1149~1219)에 의해 옹립된 군주이다. 사실상 즉할때 당시 나이가 53세로 당시 고려에서는 적은 나이가 아닌 상황에서 즉위를 하였고 특히 신종은 노년에 황위에 오른 허수아비 군주 2호이며 7년의 재위기간동안 딱히..

19대 명종(고려)

명종(Myeongjong de Goryeo, 1131~1202, 재위1170~1197)  출생고려 개경 정궁에서 아버지 인종(1109~1146, 재위1122~1146)과 어머니 공예왕후 임씨(1109~1183)사이에서 태어났고, 휘는 '호'이며 위로는 형 의종(1127~1173, 재위1146~1170), 아래로는 동생 신종(1144~1204, 재위1197~1204)이 있다. 배경형 의종이 1170년 정중부등이 일으킨 무신정변으로 퇴위되고 무신들에의해 명종으로 옹립되고, 실권은 무신들에게 넘어가버려 군주로서의 권위는 이미 없던 상태였다. 전국적인 반란으로 혼란스러웠고, 무신정권이 들어온 후 무신들끼리도 경쟁으로 서로 죽이고 실권자가 되는등 말그대로 개판5분전 시작일 때의 군주였다. 명종이 머무르는 궁에 불..

18대 의종

의종(Uijong de Goryeo, 1127~1173, 재위1146~1170)   출생1127년 고려 개경 정궁에서 아버지 인종(1109~1146, 재위1122~1146)과 어머니 공예왕후 임씨(1109~1183)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고 휘는 '현'이다. 아래 동생으로는 19대 명종(1131~1202, 재위1170~1197)과 20대 신종(1144~1204, 재위1197~1204)이 있다. 배경1143년 사부 정습명(1094~1150)의 지원으로 태자자리에 오른 인물로, 인종부터 기울어가던 왕권이 의종대에 무신정변으로 인해 바닥까지 추락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무예에 관심이 많아 수박희, 기마, 격구등을 좋아해 자주 관람했다고 한다. 1170년 정중부의 난으로부터 시작되는 백년간의 무신정권의 시작점을 ..

17대 인종(고려)

인종(Injong de Goryeo, 1109~1146, 재위1122~1146)  출생1109년 고려 개경 개성부 순덕왕후 사저에서 아버지 예종(1079~1122, 재위1105~1122)과 어머니 순덕황후 이씨(문경태후, 이자겸의 둘째 딸, 1094~1118)사이에서 태어났고 휘는 '해'이다. 배경고려의 전성기가 끝나고 쇠퇴기를 맞이하게되는 첫 군주로서 1122년 아버지 예종이 승하하고 외조부 이자겸이 사실상 반강제로 인종을 옹립시켰다. 외척세력의 최고권력자이자 중신 이자겸은 정권을 손아귀에 넣고 자신의 3녀, 4녀를 인종에게 시집보내면서까지 해 군주의 장인이 된다(이모와 결혼한 것). 그러나 그 아무도 이자겸을 건들지 못하는데, 이자겸에겐 든든한 빽이 있었다. 왜냐하면 그 든든한 주인공이 바로 한국사 ..

16대 예종(고려)

예종(Yejong de Goryeo, 1079~1122, 재위1105~1122)  출생1079년 고려 개경 개성부에서 아버지 계림후 왕희(숙종, 1054~1105, 재위1095~1105)와 어머니 유씨 부인(명의왕후, ?~1112)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고, 휘는 '우'이다.  배경숙종의 장남이자 적장자로서 16대 예종으로 즉위하고 아버지가 근간을 마련해놓은 강력한 황권으로 국정을 매우 잘 이끌어나갔다는 평을 듣는 군주이다. 내치, 외치할것없이 업적이 많은데, 아버지 숙종때부터 최측근의 권력이 강화됨에 따라 마냥 여유로울 순 없었고, 대립하던 동북부 완안부 여진이 1115년 금나라를 세우게되면서 그 세가 강성해짐에 따라 더 대립이 격화되게 되는 시기에 있던 군주이다. 예종은 사실상 고려 역사상 마지막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