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정문(Les négations)
일상생활에서 쓰는 긍정문의 반댓말.. 반대로 적용하면 되며, 여러 종류가 존재함과 동시에 이 표현을 문장 속 어떤 위치에 사용하는지가 중요한 부분이다.
I. ne + 부정 표현
보통 부정문을 쓸 시 [ne + 동사(Verbe) + 부정 표현(négation)] 형태로 써주면 된다.
구조 | 예시 | |
ne ... pas* | ne + 동사(V) + pas | Je ne suis pas un femme. |
ne ... jamais | ne + 동사(V) + jamais | Il ne sait jamais. |
ne ... plus | ne + 동사(V) + plus | Je ne le reverrai plus. |
ne ... aucun(e) | ne + 동사(V) + aucun(e) | Il ne fait aucun cas d'elle. |
ne ... rien | ne + 동사(V) + rien | Je ne peut rien voir. |
ne ... ni ... ni | ne + 동사(V) + ni + 명사, 동사(V) + ni | Je ne dire ni oui, ni non |
*복합시제의 경우, je suis allé au parc. ▶ je ne suis pas allé au parc. [ne + 조동사(avoir, être) + pas + pp(과거분사]
II. sans 부정법
Sans뒤에 명사 ou 동사원형이 오며, "~없이"로 해석된다. sans다음에 관사(부정, 부분)는 올 수 없다.
구조 | 예시 | |
sans | sans + (명사 ou 동사원형) | Une chaise sans bras (sans+명사) Je lis un livre sans porter (sans+동사원형) |
III. 부정 명령문
부정법으로 명령문을 만들 때도 위의 [ne + (명령법 동사(Verbe)) + 부정표현] 그대로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구조 | 예시 | |
부정 명령문 | ne + 명령법 동사(Verbe à l'impératif) + 부정 표현(négation) | N'insiste plus. Tu n'avoir aucun sens esthétique. |
IV. 부정표현법
부정표현을부정하기위해 ne + 부정표현이 함께 사용되고, 뒤에 동사원형이 오는 특징이 있다.
구조 | 예시 | |
부정표현법 | ne + 부정 표현(négation) + 동사원형 | ne plus savoir vers qui se retourner Il a l'intention de ne jamais se marier. |
V. 제한(한정)용법
Ne + que로 되는 건 부정문이 아니다. 제한(한정)적 표현으로 쓰이는 형태이며 "~만, ~뿐"등으로 해석되고 부사 seulement과 일맥상. 부정표현과 많이 닮았으니 주의있게 봐야할 것.
구조 | 예시 | |
제한용법 | ne + que | Je n'ai que vous. Je ne dis que le nécessaire. |
반응형
'프랑스어 > 의문사, 비교급, 최상급, 명령문, 부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법 L'infinitif (0) | 2024.06.11 |
---|---|
프랑스어 명령법 (0) | 2024.06.07 |
프랑스어 비교급,최상급 (0) | 2024.05.29 |
프랑스어 의문문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