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어 어순
영어에서 어순은 문장 내 품사들이 나열되는 순서를 뜻한다.
배경
영어의 경우 어떤 경우에도 주어가 생략되지 않고(한국어는 주어가 생략되거나 주어가 누구인지 애매한 경우가 많음), 영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주어(Subject), 동사(Verb), 목적어(Object)의 순서를 따름으로서 한국어와는 어순이 반대인 것이 특징이다.
구조 | |
한국어 | S + O + V [주어 + 목적어 + 동사(서술어)] |
영어 | S + V + O (주어 + 동사 + 목적어) |
종류
I. 평서문(Declarative sentence)
평서문은 어떤 언어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장 유형으로 있는 사실 그대로를 설명하는 문장이다. 평서문의 형태는 주어(S) + 동사(V) + 보어(C) 또는 목적어(O)로 나타난다.
예시 | 해석 | |
I | I eat a banana. (주어 + 동사원형) 형태 |
나는 바나나를 먹는다. |
II | It is raining. (주어 + be동사) 형태 |
비가 오고 있다. |
III | He isn't gentle. (주어 + be동사 + not) 형태 |
그는 친절하지 않다. |
IV | She can play the violin. (주어 + 조동사 + 동사원형) 형태 |
그녀는 바이올린을 연주할 수 있다. |
V | They love us. (주어 + 동사원형) 형태 |
그들은 우리들을 좋아한다. |
II. 의문문(Intrrogative sentence)
질문을 하고 싶을 때 쓰는 문장 유형으로서 문장을 만들때 주어와 동사의 도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조동사나 대명사류 품사가 위치한다.
II-1. be동사, 조동사의 경우
be동사 또는 조동사의 경우에 주어와 동사의 순서를 바꾸는 도치가 이루어지며 이 형식으로 의문문을 만든다.
II-2. 일반동사 경우
일반동사가 위치할 경우 [do/ does / did + 주어(S) + 동사원형(V) + (기타품사) ?] 형태로 의문문을 만든다.
예시 | 해석 | |
I | Is it new? (be동사 + 주어) 형태 |
이것은 새것인가요? |
II | Can I drink this coffee?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 형태 |
이 커피를 마실 수 있나요? |
III | Does he like soccer? (Do + 주어 + 동사원형) 형태 |
그는 축구를 좋아하나요? |
IV | Who is she? (의문대명사 + be동사) 형태 |
그녀는 누구인가요? |
V | What sports do you like? (의문대명사 + 주어 + do + 동사원형)형태 |
어떤 스포츠를 좋아하나요? |
III. 명령문(Imperative sentence)
불특정 인물 또는 불특정 다수가 있는 상황에서 명령 또는 지시를 해야하는 상황일 때 사용하는 문장 유형으로 평서문에서 주어(S)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예시 | 해석 | |
I | Don't tell us! | 우리들한테 말하지 마! |
II | Turn left! | 좌향좌! |
III | Study harder! | 공부 열심히해라! |
IV. 감탄문 Exclamatory sentence
감탄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문장 유형으로, 문장 끝엔 반드시 느낌표가 와야하는 특징이 있다.
예시 | 해석 | |
I | How beautiful city is! (How + 형용사 + 주어 + 동사) 형태 |
도시가 정말 아름답구나! |
II | What a cute baby! (what + a + 형용사 + 명사) 형태 |
아기가 정말 귀엽구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