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자핵 3

3.원자핵구조/마법수/물방울모형

1. 원자핵 구조1-1 Shell model과 마법수성질이 비슷한 핵자들이 한정된 좁은 공간에 밀집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게 원자핵이다. 그리고 원자와의 에너지준위 상태 또한 다르다근데 임의의 핵자수일 때, 원자핵이 안정된 상태에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같은 핵구를 shell model이라 하고 각 shell을 형성하는 숫자를 마법수*라고 함(프-nombre magique , 영-magic number). Shell model으로 원자핵의 들뜸상태, 알파붕괴등을 설명할 수있다. 그리고 핵퍼텐셜의 모양을 알면 핵자의 운동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 핵에너지 준위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1940년대에 발견되었으며, 양성자나 중성자의 껍질이 모두 차서 에너지가 특별히 낮은 핵에서의 그 핵자의 수를..

2. 원자의들뜸/이온화

5. 원자의 크기원자의 크기 = 전자 궤도의 크기전자 궤도의 크기는 주양자수*n으로 결정되고,  원자의 크기는 전자 궤도의 최대반지름으로 결정됨.* 오직 자연수의 값만을 가질 수 있고, 양자수가 커질 수록 오비탈이 커지고 전자가 높은 포텐셜 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핵에 덜 매여있게 된다. 반지름이 작은 안쪽 궤도부터 K(n=1), L(n=2), M(n=3)...으로 정의됨 보어 반지름 이라고 하는데, 이는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궤도 반지름 r = 0,0529 nm = 0,53 x 10^-10n^2(m)임.각 궤도에 들어갈 전자의 수는 파울리의 배타원리에 따라서 허용전자수는 2n^2개가 됨.원자핵의 크기는 10^-15m정도질량수 A와 원자핵의 반지름 R(m)과의 관계식을 정리함에있어 우즈-삭슨 형태로 ..

핵분열

Fission nucléaire. 간단하게, 질량이 큰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후 가벼운 원자핵 2~3개로 쪼개지는 것. 팩트를 마쳤으니 글을 이만줄여야겠지만 이제부터가 시작...! 핵분열을 발견하셨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 위사진의 주인공 독일의 화학자 오토 한(1879~1968), 핵분열에 대한 공로로 194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지만... 사실 처음 핵분열을 발견한 사람은 동료연구자 리제 마이트너(1878~1968)임. 글 편의상 주기율표상에 기호대로 우라늄을 U, 플루토늄을 Pu로 하여 이야기하겠다. 앞서 말한 질량이 큰 원자의 종류는 주기율표 맨밑에 있는 악티늄족에 우라늄, 플루토늄등인데 자연계에서 가장 원자번호가 큰 원소인 우라늄부터 살펴보자면, 지구상에 있는 우라늄이 100이라 치면 순수한 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