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권중현

Mintaka5 2025. 2. 1. 14:35
반응형

권중현, 1854~1934

권중현, 출처-위키피디아

출생

1854년 조선 충청도 영동현(현 충북 영동군)에서 아버지 권홍섭(권율의9대손, 1833~1893)과 어머니 덕수 이씨(이순신의 9대손, 1820~1877)사이에서 5남1녀중 차남으로 태어남. 

 

배경

친일파, 을사오적중 한명. 초명 권재형에서1903년 권중현으로 개명하고 여러 고위직들(농상공부대신, 의정부 찬정, 군부대신)을 역임하고 1905년(광무8년, 고종41년) 을사늑약 체결에 찬성한 을사오적중 한명으로 지탄을 받는다. 

1910년 경술국치로 대한제국이 일제에 국권이 넘어감에도 친일행각을 계속 이어가고, 조선귀족 자작 작위를 받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으로 연금을 받고 죽을 때까지 호의호식 하다가 1934년 81세로 사망.  아래표는 을사늑약에 찬성한 5명의 대신.

  생몰년도 직위
이완용 1858 ~ 1926 학부대신
이근택 1865 ~ 1919 군부대신
이지용 1870 ~ 1928 내부대신
박제순 1858 ~ 1919 외부대신
권중현 1854 ~ 1934 농상공부대신

 

 

관리

부친은 임진왜란 당시 도원수 권율(1534~1599)의 9대손 권홍섭(1833~1893)이고 어머니는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1545~1598)의 9대손으로서 양반집안 태생이자 왜적으로부터 조선을 지킨 명장의 집안이다. 일찍부터 넉넉한 집안에서 일본어를 익혀 개화파에 가담하게 되면서 관료의 길 역시 친일쪽으로 틀게 된다.

외교쪽 업무와 동시에 조-오 수호통상조약 참여, 사무관등을 역임하면서 내공을 쌓고 1899년 법부대신, 1904년 러일전쟁에서 일제 위문사로 파견된다. 이후에도 갑오개혁을 주도하여 군무아문협판, 육군 참장, 고등재판소 판사등을 겸한다.

 

을사늑약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고 권중현은 일제 특파대사로 파견되어 당시 조선통감부 통감 이토 히로부미(1841~1909)를 영접하는 위원으로 임명되면서 맞이하는데 이토 히로부미가 대한제국에 독립을 하기위한 실력도 갖추지 않은 국가가 외교를 어떻게 할 수 있냐고 대놓고 망신을 줌에 따라 불만을 가지지만 어쩔 수가 없었다고 한다.  

이듬해 1905년, 러일전쟁이 지속되고 있던 도중 일제는 대한제국에 대한 종주권을 인정받기 위해 7월 29일 미국 전쟁부 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1857~1930, 대통령재임1909~1913)와 일제 내각총리대신 가쓰라 다로(1848~1913)가 도쿄에서 비밀리에 회담을 가져 일제가 대한제국을 침략하고 보호령으로 삼아 통치하는 것을 용인하게끔 하면서, 침탈이 가속화된다. 거기다가 8월 12일 영일조약을 통해 대영제국으로부터도 대한제국 보호를 인정받음으로서 1905년 11월 이토 히로부미는 한양에 와서 고종(1852~1919, 조선재위1864~1897, 대한제국재위1897~1907)에게 일본 천황 메이지(1852~1912, 재위1867~1812)의 친서를 바쳐 한일협약안을 제시하면서 사실상 조약체결을 강압하기에 이른다. 

고종은 완강히 조약 승인을 거부하지만 조정 대신들을 상대로 매수하기위해 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1860~1939)로 하여금 외부대신 박제순(1858~1916)을 불러 조약체결을 강요하고 이후로도 대신들에게 가부를따져 물으면서 더욱 강력하게 압박을 넣으면서 8명의 대신중 과반수 이상인 5명의 대신이 찬성을 표시하면서 조약 안건이 가결되면서 을사늑약이 체결된다.   

 

경술국치 이후

1910년 8월29일 경술국치로 국가가 통째로 넘어가고 권중현은 여느 친일파들과 같이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자작작위를 받고, 은사공채 5만원(현재가치25억원 가량)을 받는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친일행각을 이어나가고 친일단체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일제의 정책에 옹호하여 내선융화를 주장하며 충실한 친일파로 산다.

이후 일제로부터 1929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으로 임명되어 죽을 때까지 매년 연금 3천원(현재가치 약 1억 5천만원)을 수령해 호의호식하고 잘 살다가 1934년 81세로 사망.   

반응형

'친일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제순  (0) 2025.01.31
이근택  (0) 2025.01.30
이지용  (0) 2025.01.29
이완용  (0)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