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랑스어 접속법 반과거, 대과거
I. 접속법 반과거(Le subjonctif imparfait)
과거에 벌어진 주관적기점 일어난사건, 일어나지 않은 사건 같은 것을 나타내는 시제. 접속법 현재/과거는 주절의 시제가 현재 ou 미래일 시 사용되는데, 접속법 반과거의 경우(대과거 포함) 주절의 시제가 과거일 때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역시 구어체로 사용하지 않고 문어체로 사용되는 시제이다.
I-1. 접속법 반과거 어미변화
보통 직설법 단순과거 2인칭(예를들어 finir 2인칭 변화형 finis의 경우)에서 어미s를 떼고 난 부분인(fini + 어미)형태로 한다. 3인칭 단수 어미의 경우 어미 t앞의 모음에 악상시흐 꽁플렉스(accent circonflexe, ^)를 붙인다.
단수형 어미 | 복수형 어미 | ||
Je | -sse | Nous | -ssions |
Tu | -sses | Vous | -ssiez |
Il / Elle | -^t | Ils / Elles | -ssent |
1, 2, 3군 동사에 따라 어간은 변하나 어미는 똑같음.
I-2. 동사 변화 예시
arriver반과거 단수형 |
choisir반과거 단수형 |
dormir반과거 단수형 |
arriver반과거 복수형 |
choisir반과거 복수형 |
dormir반과거 복수형 |
||
Je | arrivasse | choisisse | dusse | Nous | arrivassions | choisissions | dussions |
Tu | arrivasses | choisisses | dusses | Vous | arrivassiez | choisissiez | dussiez |
Il / Elle | arrivât | choisît | dût | Ils / Elles | arrivassent | choisissent | dussent |
II. 접속법 대과거(Le subjonctif plus-que-parfait)
접속법 반과거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것에 대한 표현(이전에 시작했는지? ~ 이전에 끝났는지?) 역시 문어체로 쓰임. 접속법 대과거도 접속법 반과거와 같이 주절의 시제가 과거일 때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고 프랑스 문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제이다. 이미 과거에 시작해서 과거에 끝난걸 다루다보니 역사쪽에서도 자주 쓰인다.
II-1. 접속법 대과거 구조
[조동사(avoir, être)접속법 반과거형 + pp(과거분사)]의 구조를 가지고, 접속법 반과거 3인칭 단수형과 같이 3인칭 단수 어미 t앞의 모음에 악상시흐 꽁플렉스가 붙는다.
II-2. 조동사 어미변화
avoir 단수 | être 단수 | avoir 단수 | être 복수 | ||
Je | eusse | fusse | Nous | eussions | fussions |
Tu | eusses | fusses | Vous | eussiez | fussiez |
Il / Elle | eût | fût | Ils / Elles | eussent | fussent |
반응형
'프랑스어 > 접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어 접속법(현재, 과거) (0) | 2024.06.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