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사성 2

2. 방사능 - 방사성붕괴 알파/베타/감마

방사성 붕괴보통은 자연스러운건 불안정한 원소가 많은데, 핵종의 수로서 안정성과 불안정성은 양성자수와 중성자수의 비로 결정이 된다.질량이 작은 가벼운 원자핵에서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는 거의 비슷하거나 같지만(ex, 주기율표 20번까지) 이상으로 원자핵이 무거워지면 보통 중성자수가 양성자수보다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질량수가 커지면 (+)전하를 가진 양성자끼리의 반발력이 커짐에 따라 전기적인 척력이 발생하며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그 반발력을 약화시키기 위해서 중성자의 수가 많아진다.보통 양성자수나 중성자수가 많아지면 원자핵은 불안정해지는데, 이를 타파하기 위해 과잉된 양,중성자가 전자를 원자핵 밖으로 방출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을  β+, β-붕괴라고 한다이러한 불안정한 핵종이 자연적으로 안정한 핵종..

RI 이론/방사능 2024.05.04

1.원자와 원자핵 - 원자

1. 원자의 변천과정라틴어 átŏmus, 프랑스어 atome, 이탈리아어 atomo, 영어 atom     "더이상 나누어 질 수 없는 기본" ●고대 그리스 데모크리토스와 레우키포스(기원전 5세기) - '원자론' 주장 "우주 전체의 근원은 원자와 허공 뿐이며, 다른 모든 것들은 관습적으로 믿어지는 것들이다"● 1803년 돌턴의 원자모형 - "돌턴의 원자설은 모든 물질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로 되어 있으며 원자의 종류가 다르면 크기와 질량이 달라진다" ● 톰슨의 원자모형(건포도 푸딩 원자모형, 1904년) - "원자는 구형이고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1909년 톰슨의 지도제자 러더퍼드와 공동연구자2명의 이름을 딴 가이거-마즈든 실험(알파입자 산란실험), 일명 행성모형 이론 - 원자 가운데에 원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