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대 영의정 이여(李畬, 1645~1718)
| 전임 영의정 | 당시 재직 영의정 | 후임 영의정 | |
| 영의정 대수 | 148대 | 149대 | 150대 |
| 이름 | 최석정(崔錫鼎) | 이여(李畬) | 서종태(徐宗泰) |
| 가문 | 전주 최씨(全州 崔氏) | 덕수 이씨(德水 李氏) | 대구 서씨(大丘 徐氏) |
| 당파 (붕당) |
소론(少論) | 노론(老論) | |
| 생몰년도 | 1646.07.02 ~ 1715.12.06 [인조24년~숙종42년] |
1645.xx.xx ~ 1718.xx.xx [인조23년~숙종45년] |
1652.xx.xx ~ 1719.xx.xx [효종4년~숙종46년] |
| 재임기간 | 1705.05.05 ~ 1710.04.24 | 1710.04.24 ~ 1710.09.10 | 1714.11.03 ~ 1716.10.10 |

출생
1645년(인조23년) 조선 경기도 여주(驪州)에서 아버지 이신하(李紳夏, ?~?)와 어머니(신후완[辛後完]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경
서인 송시열(宋時烈, 1607~1689)문하생으로서 학문을 닦고 1662년(현종4년) 진사시(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부여하는 과거시험)에 입격하고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다가, 1680년(숙종7년) 35세의 나이로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고 난 뒤 검열(檢閱)이 되면서 관직에 진출하게 된다. 청요직(淸要職, 청직[淸職]+요직[要職])을 거치면서 승승장구 하지만 1689년(숙종16년) 기사환국(己巳換局, 1689)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스승 송시열과 함께 쫓겨나고 은둔생활을 하다가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 1694)때 서인이 다시 집권하면서 복직하게 된다. 1702년(숙종29년)에 좌의정에 임명되고 1710년(숙종37년)에 영의정에 임명되는 인물이다.
초년과 관직, 환국
조선 경기도 여주 출신 인물로 본관은 덕수(德水)이다. 1662년(현종4년)에 진사시에 입격하고 18년뒤인 1680년(숙종7년)에 35세의 나이로 정시 문과 병과(丙科)로 급제해서 검열(檢閱)로서 관리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검열이 된 당시 조선은 숙종(肅宗, 1661~1720, 재위1674~1720)이 일으킨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인하여 집권당이던 남인(南人)이 실각하고 서인이 집권하게 된 시기였다. 이여는 이미 고위직에 있던 스승 송시열과 같은 서인(西人)으로서 1680년부터 검열직을 시작으로 정자(正字, 정9품), 수찬(修撰, 정6품), 헌납(獻納, 정5품), 이조전랑(정5품 정랑+정6품 좌랑), 응교(應敎, 정5품), 집의(執義, 종3품)등 요직을 거쳐 부제학(副提學, 정3품)과 대사간(大司諫, 정3품)을 역임하고 있던 때인 1689년 3월, 숙종이 기사환국(己巳換局, 1689)을 일으키게 되면서 서인이 실각함에 따라 스승 송시열과 함께 관직에서 쫓겨나게 된다. 스승 송시열은 유배형을 받고 이후 국문을 받기 위해 도성으로 상경하던 도중 사사된다.
갑술환국 복직과 이후
이여는 1689년에 발생한 기사환국 이후 5년여간 은둔생활을 하고 있다가 1694년(숙종31년), 갑술환국(甲戌換局, 1694)이 일어나게 되면서 서인으로서 적극적으로 환국에 참여하여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다시 집권당이 되게 되면서 형조참판(刑曺參判, 종2품, 형조판서 보좌직)으로 임명되며 사실상 복직하게 된다. 이 이후 당상관이 되고 판서(判書, 정2품에 해당, 6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장관직)를 거쳐 우의정(右議政, 정1품, 의정부3위), 좌의정(左議政, 정1품, 의정부2위)을 거쳐 1710년 4월 24일(숙종37년), 최고위직인 영의정(領議政, 정1품, 의정부1위)에 임명되게 된다. 그러나 5개월간의 재상 생활동안 윤증(尹拯, 1629~1714)의 문인이였던 최석문(崔錫文, ?~?)과 대립하다가 결국 패배하면서 명예직인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종1품)로 물러나면서 고향 여주에 은거하다가 1718년(숙종45년), 73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고위급 귀족 & 관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50, 152대 영의정 서종태 (0) | 2025.10.21 |
|---|---|
| 153대 영의정 김창집 (0) | 2025.10.20 |
| 이운룡 (0) | 2025.04.10 |
| 이영남 (0) | 2025.04.09 |
| 원균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