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지방제도(행정구역)
8도체제로부터 시작. 조선 정부가 지방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위해 마련한 제도.
배경
조선의 지방제도는 신라시대때 9주, 고려시대때 12목으로 구획한 것을 바탕으로 했다. 1392년 건국이후 고려의 지방제도를 이어받고 이어받은 제도를 발전시켜 8도체제를 갖추게 된다.
1413년(태종13년)에 정해진 방식으로 당시 좌의정 하륜(1348~1416)의 건의에 따라 조선을 8도로 구획. 다음은 1413년 구획된 지방행정구역.
지방 장관(도 수장) | 지방 수령 | ||
8도 | 경기도 | 종2품 관찰사 | 8도 각각 도 밑에 부,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 설치 부 수장 : 부윤(종2품, 현재의 광역시장급) 대도호부 수장 : 대도호부사(정3품 상계) 목 수장 : 목사(종3품) 군 수장 : 군수(종4품) 현 수장 : 현령(종5품, 큰규모 현 수장), 현감(종6품, 작은규모 현 수장) |
충청도 | |||
전라도 | |||
경상도 | |||
강원도 | |||
황해도 | |||
함경도 | |||
평안도 |
종2품 관찰사는 도의 최고 행정책임자로서 군사, 행정, 사법, 치안등의 권한을 가진 지방의 절대권력자. 관찰사의 임기는 다음과 같다.
관찰사 임기 | |
1392 ~ 1418 | 1년, 국경지대 양계(2년) |
1418 ~ 1450 | 30개월 |
1485 ~ 1669 | 360일 |
1669 ~ 1910 | 2년, 경기도만1년이였다가 1800년대에 경기도도 2년으로 연장 |
각 수령은 모두 관찰사(종2품)의 관할아래 있었음. 조선 정부에서 지방관을 파견하는 지방행정단위는 '현'까지. 현 아래로는 자치적으로 면, 방, 리, 촌, 동등이 있었음.
1413년 구획된 이후 72년이 지나고 경국대전이 편찬된 1485년(성종16년) 당시 성종(1457~1494, 재위1469~1494)대에 개편되어 1894년 일어난 갑오개혁으로 1895년 8도가 23부제로 바뀔때까지 유지된다. 이 때 관찰사는 부의 장관이 된다. 1896년엔 다시 13도로 재편되면서 도의 장관으로서 명목을 이어가다가 1910년 경술국치로 일제에 강제 병합될 때까지 존속하게 된다.
행정구역 분류도
1485년 경국대전이 편찬된 이후의 기준으로 한다.
I. 경관직
품계, 직위 | 정원 | 비고 | |
한성부 | 정2품 판윤 | 1명 | |
개성부 | 종2품 유수 | 2명 | 1명은 종2품 경기도 관찰사가 겸직 |
중앙관서에 소속된 관직을 의미하고 수도 한성부에 위치하고 수도 한양에 있는 문(종친, 의정부, 육조, 삼사, 한성부, 귀후서, 4학), 무(중추부, 선전청, 오위도총부, 세자익위사, 각 군영)의 각 아문에 이른다. 한성부와 개성부는 중앙정부에서 직접 관할하는 도시라는 뜻에서 광역시(직할시)와 같다.
단, 지방에 있어도 경관직이라 불렀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명칭 | 경관직 품계 | |
능 | 덕릉, 안릉 이하 6릉 | 종5품 령 2명 종7품 직장 1명 정8품 봉사 3명 종8품 별검 1명 종9품 참봉 7명 |
묘 | 조경묘 | 종5품 령 1명 종8품 별검 1명 |
순회묘, 소현묘, 민회묘, 휘소묘, 효창묘 | 수위관 2명 | |
원 | 현륭원 | 종5품 령 1명 종9품 참봉 1명 |
순강원 | 종9품 수봉관 2명 | |
소녕원 | 종9품 수봉관 2명 | |
수길원 | 소녕원 관원 수봉관이 겸찰. | |
휘경원 | 종5품 령 1명 종9품 참봉 1명 |
|
전 | 문소전 | 정1품 도제조 2명, 항렬이 높은 종친으로 임명. 종2품 제조 2명 종9품 참봉 2명 |
연은전 | 문소전 종2품 제조가 겸임. 종9품 참봉 2명 |
|
경기전 | 종5품 령 1명 종9품 참봉 1명 |
|
준원전 | 종6품 령 2명 | |
영희전 | 정1품 도제조 1명 종2품 제조 1명 종5품 령 2명 종9품 참봉 1명 |
|
장령전 | 종5품 령 1명 종8품 별검 1명 |
|
만령전 | 종8품 별검 1명 종9품 참봉 1명 |
|
화령전 | 종5품 령 1명, 령 직책은 판관이 겸임함. | |
장생전 | 정1품 도제조 1명, 영의정 겸임. 종2품 제조 3명, 육조 판서가 겸임. 종6품 낭청 3명, 낭관(호조, 예조, 공조)이 겸임. |
II. 외관직
지방관직을 뜻함. 지방에 두었던 문, 무 관직을 둔 자들을 통칭하며 경관직과 구별하여 둔다. 전국8도 334개에 이르는 지방관서에 외관직을 두고 운영되었다.
품계, 직위 | 정원 | 현재의 | |
도 장관 | 종2품 관찰사 | 8명 | 도지사 |
부 | 종2품 부윤 | 4명 | 광역시장 |
대도호부 도호부 |
정3품 상계 대도호부사 종3품 도호부사 |
4명 44명 |
대도시 시장 |
목 | 정3품 하계 목사 | 20명 | 중간도시 시장 |
군 | 종4품 군수 | 82명 | 소도시 시장 |
현 | 종5품 현령(큰규모 현) 종6품 현감(작은규모 현) |
175명 | 군수 읍장 |
II-1. 1485년 경국대전 기준 도별 행정구역 갯수
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현령) | 현(현감) | |
경기도 | 4 | 7 | 7 | 5 | 14 | ||
충청도 | 4 | 12 | 1 | 37 | |||
경상도 | 1 | 1 | 3 | 7 | 14 | 7 | 34 |
전라도 | 1 | 3 | 4 | 12 | 6 | 31 | |
강원도 | 1 | 1 | 5 | 7 | 3 | 9 | |
황해도 | 2 | 4 | 7 | 4 | 7 | ||
함경도 | 1 | 1 | 11 | 5 | 4 | ||
평안도 | 1 | 1 | 3 | 6 | 18 | 8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