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사선/방사능 단위
방사선은 방사성 물질이 내는 에너지(원자나 원자핵으로부터 에너지를 가지고 방출되는 입자 또는 전자기파를 지칭), 방사능은 방사성 물질이 방사선을 내는 강도(1초당 붕괴수를 방사능이라고도 함, 단위는 베크렐 또는 큐리)를 말한다. 많은분들이 방사선에 대해서 관심은 많지만, 어려운 물리학분야라고 여겨 접근자체를 꺼리는 경우를 수많이 봤다. 이를 계기로 간단하게나마 설명을 해보고자 함이다.
I. 원자력 안전법 제2조(정의)
원자력 안전법 제2조에 따르면, "방사선 이란 전자파 또는 입자선 중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공기를 전리하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라고 명시가 되어있다.
설명 | 기타 | |
방사선 | 방사성 물질이 더 안정한 물질로 붕괴될 때나 기타 원인으로 발생하는 입자선 혹은 전자기파를 뜻함. | 방사선으로 인한 물리량이 3가지 (방사능, 흡수선량, 등가선량) |
설명 | 기타 | 수치, 단위 | |
방사능 |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 방사성 물질이 방사성 붕괴를 하여 방사선을 방출할 때, 1초당 붕괴수를 뜻함. |
방사선 자체 양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 | Bq(베크렐)* 또는 Ci(큐리)** 1Ci = 3.7 x 10^10 Bq |
흡수선량 | 방사선이 매질을 통과할 때 매질이 흡수한 에너지로 방사선에너지가 물질에 어느 정도 흡수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양. | 방사선 피폭 양 나타낼 때 쓰임 | Gy(그레이) 또는 rad(라드) 1Gy=100 rad (1Gy는 물질 1kg에 1J의 에너지를 흡수된 것을 뜻함) |
등가선량 | 방사선이 인체에 흡수되어 영향을 끼친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서,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른 것을 고려한 것 | 사람/생물에 실질적인 피해를 나타내는 수치(일상적으로 쓰임) | Sv(시버트)*** 또는 rem(렘)**** 1 Sv=100 rem |
*1Bq(베크렐) = 1초에 방사성 붕괴가 1번 일어날 때 1Bq(베크렐).
**1Ci(큐리) = 매 초당 370억 개의 원자가 붕괴하는 방사능.
***시버트(Sv)는 등가선량의 단위로 생물체가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흡수선량이 같다고 할지라도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에 따라 받는 생물학적 영향이 다르다. 시버트 선량은 그레이(Gy)선량에 방사선가중인자를 곱해준 값과 같다.
****렘(Rem)은 방사선 선량당량의 단위로서 생물학적 효과를 고려한 방사선 선량단위이다.
II. Bq(베크렐)과 Ci(큐리) 관계
베크렐(Bq)은 방사능 활동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큐리(Ci) 역시 방사능의 단위로서 베크렐 단위가 사용되기 전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방사선량 단위이다. 라듐-226 1g의 방사능과 같은 매초당 370억개의 원자가 분괴하는 방사능이다.
반응형
'물리학 physique > 핵 & 입자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융합 (0) | 2024.04.23 |
---|---|
핵분열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