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기구/조선

승정원,춘추관,성균관

Mintaka5 2024. 10. 24. 16:56
반응형

행정기관

  승정원 춘추관 성균관
빠른설명 왕명출납 담당 행정기관
(현재의 대통령비서실)
시정 기록들을 관장한 행정기관
(현재의 국가기록원)
국립 교육기관
(현재의 성균관대학교)*

*현 성균관대학교는 사립 종합 대학이다.

 

I. 승정원(1400~1894)

현재의 대통령비서실에 해당하는 군주의 비서기관. 군주가 내리는교지, 상소등이 승정원을 거쳐서 전달되었기에 상당히 핵심적인 기관. 태조원년인 1392년 중추원()에 도승지를 장관으로 삼은게 밑바탕이였고,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대에 들어 1405년(태종5년)에 별도의 승정원을 두면서 독립 관서로서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1433년(세종15년) 승정원 제도가 완비됨에 따라 6승지체제로 운영되며 1485년(성종16년) 경국대전에 이 체제가 그대로 등재되면서1894년 갑오개혁까지 체제가 이어진다. 

각 부서별 승지의 정원은 1인. 승지아래로는 정7품 주서 2인과 사변가주서 1인

6승지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직급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품계 정3품 당상관
직급 주서(注書)
(승지 업무 보좌)
사변가주서 事變假注書
(주서2인이모두 출사,결원중일때 임시로 주서의 직무 수행)  
품계 정7품

승정원의 6승지중 우두머리는 도승지(현재의 대통령 비서실장). 6승지 모두 정3품 당상관으로서 붉은색 관복을 입는 고위급 관직이였고 군주의 최측근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점에다가 조정의 인사권을 쥐고있는 도승지의 경우에는 정1품의 의정부 3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과 정2품의 6판서(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조차 도승지를 함부로 건들 수 없었고 눈치를 보았어야 했을 정도. 

 

II. 춘추관(1401~1894)

고려시대때부터 시정(時政, 당시의 정사)의 기록들을 관장한 행정기관으로서 여말선초시기 1389년 예문춘추관으로 되었다가 조선건국 이후 독립적인기관으로 분리됨. 

1308년(충렬왕34년)에 문한서(왕의 명령을 받아 문서를 작성하는 기관)에 병합해서 예문춘추관이라 하였던게 첫 시작. 1325년(충숙왕12년)에 분리되었고, 1362년(공민왕11년)에 춘추관으로 개칭, 1389년(공양왕 원년)에 다시 예문관과 춘추관을 합쳐 예문춘추관으로 다시 복귀. 조선 건국 이후(1392년이후)에는 1392년(태조 원년)예문춘관, 1401년(태종1년)다시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조선시대 춘추관은 역사편찬을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조선왕조실록 사초(자료)를 보관, 임진왜란 발발(1592년)전까지 고려왕조실록도 보관 하던 곳이였다.

춘추관의 직제로는 다음과 같다.  정3품 하계 편수관으로부터 기사관까지 정원이 몇명이였는지는 아직도 명확히 규정이 되지 않아 공백으로 둔다. 

    구성 직책 비고
정1품 당상관 영사
감사
정원 1명, 영의정 겸직
정원 2명, 좌의정과 우의정 겸직
종1품    
정2품 지사 정원 2명, 겸직 가능
종2품 동지사 정원 2명, 겸직 가능
정3품 상계 수찬관 정원 7명,  사실상 춘추관 수장으로서 실무담당(홍문관 부제학, 6명의 승지 겸직)
정3품 하계 당하관 편수관  
종3품  
정4품  
종4품  
정5품 기주관  
종5품  
정6품 기사관  
종6품  
정7품  
종7품  
정8품  
종8품  
정9품  
종9품  

1485년 경국대전에 규정된 직제는 조선후기로 갈수록 변화가 생긴다. 

 

III. 성균관(1398~  )

조선의 국립 교육기관으로, 고려시대 국자감(고려 6대 성종때 인재를 교육하기 위해 설치한 교육기관)이 1298년(충렬왕24년)에 성균감으로 바뀌었다가 1308년(충선왕 원년)에 성균관으로 바꿔졌다. 1356년(공민왕5년)에 국자감으로 환원되었다가 1362년(공민왕11년)에 다시 성균관으로 복구됨. 

1362년(공민왕11년)에 국자감에서 성균관으로 복구되는 과정에서 유학 전담 교육기관으로 변모하게된다. 그렇게 유학생들을 양성하는 기관으로서 이어오다가 1392년 조선이 건국되고난 후 1398년(태조6년)에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에 숭교방이라는 성균관 건물을 준공하게 된다.  

다음은 1362년(공민왕11년)에의 성균관 직제와 1485년(성종16년)에의 성균관 직제 비교 표.

고려품계 고려 비고 조선품계 당상 조선 비고
정1품     정1품



   
종1품     종1품    
정2품     정2품 지사 정원 1인, 겸직가능
종2품     종2품 동지사 정원 2인, 겸직가능
정3품 
대사성
정원 1인
정3품 상계
대사성(성균관수장) 정원 1인
정3품 하계







   
종3품 좨주 정원 1인 종3품 사성 정원 2인
정4품 악정 정원 2인 정4품 사예 정원 3인
종4품     종4품    
정5품 직강 정원 1인 정5품 직강 정원 4인
종5품     종5품    
정6품 전부 정원 1인 정6품 전적 정원 13인
종6품     종6품    
정7품 박사 정원 2인 정7품 박사 정원 3인
종7품 순유박사 정원 2인 종7품    
정8품 진덕박사 정원 2인 정8품 학정 정원 3인
종8품     종8품    
정9품 학정
학록
각 정원 2인 정9품 학록 정원 3인
종9품 직학
학유
직학 정원 2인
학유 정원 4인
종9품 학유 정원 3인
품계이외 서리 정원 2인 품계이외   서리 정원 10인

국립 교육기관이였던만큼 등록금이 없었고 숙식까지 제공되었지만, 성균관에 들어가려면 적어도 소과에 합격해야 가능했고, 생원 또는 진사시에 합격해야 입학 가능. 그리고 지방에서 향교 또는 학당에서 추천을 받아야 겨우 입학가능할 정도로 그 난이도는 쉽지 않았던 편. 

성균관에 입학하고나면 기초를 닦는 과정으로서 가장 먼저 1단계 대학재에 들어가 대학을1개월간 공부하고 시험을 치룬다음 통과하면 2단계인 논어재로 한단계 올라가서 수학하게 된다.  

교육 과목과 학습 기간은 다음과 같다 [태학지(太學志), 1785].

  과목 과정 학습기간(개월) 비고

대학 대학재 1 기초 닦는, 오늘날 예과와 비슷
논어 논어재 4
맹자 중용재~ 주역까지차례로 공부 4 오늘날의 본과와 비슷

맹자를 공부하고 중용에서 성인의 사상을 파악
5경(시경, 서경, 춘추, 예기, 주역)의 순서로 공부

시경 : 정서적 인간교육
서경 : 정치 교육
춘추 : 역사 교육
예기 : 제도, 사상 교육
주역 : 인성, 우주생성원리 교육 
중용 2

시경 6
서경 6
춘추 6
예기 7
주역 7

사서오경(유교 핵심 경전)을 학습기간 총 기간은 총 43개월(3년7개월)로서  모두 우수한 성적으로 마쳐야 3년에 한번 치루는 과거시험인 식년시 문과(성균관생은 '관시'를 응시한다)회시(2단계)를 바로 응시할 수 있는 특전을 받을 수 있었다.  

물론 모두가 43개월만에 다 공부를 하는건 아니다. . .

반응형

'행정기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품계와 현재직급별 비교  (0) 2024.10.25
의정부, 승문원  (0) 2024.10.24
고려, 조선 군주의 묘호&시호  (0) 2024.10.23
조선시대 육조, 삼사  (0) 2024.10.23
고구려,백제,신라 관등  (0) 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