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황 목록(201대 그레고리오11세 ~ 현재267대 레오14세)
201대 교황 그레고리오11세(Gregorius PP. XI, 1329~1378, 재위1371~1378)부터 현직인 267대 교황 레오14세(Leo PP. XIV, 1955~ , 재위2025~ )까지 정리해 놓은 표이다. 즉위한 세기별로 표를 정리해 두겠으니, 키보드[Ctrl + f] 키를 눌러서 검색을 활용하여 찾고자 하는 교황명과 키워드를 찾으면 찾고자 하는 교황의 프로필을 더 빨리 찾을 수 있다.
I. 14세기(1301년~1400년)에 즉위한 교황
201대 그레고리오11세부터 203대 보니파시오9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0 1 대 |
피에르 로제 드 보포르 Pierre Roger de Beaufort |
그레고리오11세 (Gregorius PP. XI) |
1330.05.09 ~ 1378.03.27 (재위1371.01.05~1378.03.27) |
프랑스 (리모주) |
아비뇽 유수 마지막 교황이자 마지막 프랑스 출신 교황 |
2 0 2 대 |
바르톨로메오 프리냐노 Bartolomeo Prignano |
우르바노6세 (Urbanus PP. VI) |
1318.xx.xx ~ 1389.10.15 (재위1378.04.08~1389.10.15) |
나폴리 왕국 (이트리) |
서구 대이교 |
2 0 3 대 |
피에트로 토마첼리 Pietro Tomacelli |
보니파시오9세 (Bonifacius PP. IX) |
1350.xx.xx ~ 1404.10.01 (재위1389.11.02~1404.10.01) |
나폴리 왕국 (나폴리) |
서구 대이교 |
II. 15세기(1401년~1500년)에 즉위한 교황
204대 인노첸시오7세부터 214대 알렉산데르6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0 4 대 |
코시모 데 미그리오라티 Cosimo de' Migliorati |
인노첸시오7세 (Innocentius PP. VII) |
1339.xx.xx ~ 1406.11.06 (재위1404.10.17~1406.11.06) |
나폴리 왕국 (술모나) |
서구 대이교 |
2 0 5 대 |
안젤로 코레르 Angelo Correr |
그레고리오12세 (Gregorius PP. XII) |
1327.xx.xx ~ 1417.10.18 (재위1406.11.30~1415.07.04)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대립교황 퇴위이후 사임 |
2 0 6 대 |
오도네 콜론나 Oddone Colonna |
마르티노5세 (Martinus PP. V) |
1369.01.25 ~ 1431.02.20 (재위1417.11.11~1431.02.20) |
교황령 (제나차노) |
바젤 공의회(1431)개회 |
2 0 7 대 |
가브리엘레 콘둘메르 Gabriele Condulmer |
에우제니오4세 (Eugenius PP. IV) |
1383.01.11 ~ 1447.02.23 (재위1431.03.03~1447.02.23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바젤 공의회(1431~1449) |
2 0 8 대 |
톰마소 파렌투첼리 Tommaso Parentucelli |
니콜라오5세 (Nicolaus PP. V) |
1397.11.15 ~ 1455.03.24 (재위1447.03.06~1455.03.24) |
제노바 공화국 (사르차나) |
1449년 바젤 공의회 폐 |
2 0 9 대 |
알폰소 데 보르하 오 보르자 Alfonso de Borja o Borgia |
갈리스토3세 (Callistus PP. III) |
1378.12.31 ~ 1458.08.06 (재위1455.04.08~1458.08.06) |
발렌시아 왕국 (카날스) |
스페인출신 최초의 교황 |
2 1 0 대 |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 Enea Silvio Piccolomini |
비오2세 (Pius PP. II) |
1405.10.18 ~ 1464.08.14 (재위1458.08.19~1464.08.15) |
시에나 공화국 (코르시냐노) |
에우제니오4세에 반대해 대립교황 펠릭스5세의 비서역임, 이후 단절 |
2 1 1 대 |
피에트로 바르보 Pietro Barbo |
바오로2세 (Paulus PP. II) |
1417.02.23 ~ 1471.07.26 (재위1464.08.30~1471.07.26)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동방 정교와의 화해 시도 |
2 1 2 대 |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 Francesco della Rovere |
식스토4세 (Sixtus PP. IV) |
1414.07.21 ~ 1484.08.12 (재위1471.08.09~1484.08.12) |
제노바 공화국 (첼레리구레) |
오트란토 구원 십자군 소집 |
2 1 3 대 |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 Giovanni Battista Cybo |
인노첸시오8세 (Innocentius PP. VIII) |
1432.xx.xx ~ 1492.07.25 (재위1484.08.29~1492.07.25) |
제노바 공화국 (제노바) |
마녀 재판 추친 칙서 서명(마녀사냥), 잉글랜드 헨리 튜더(헨리7세)적법 군주로 인정 |
2 1 4 대 |
로드리고 란조르 보르자 이 보르자 Roderic Llançol-Borja i Borja |
알렉산데르6세 Alexander PP. VI |
1431.01.01 ~ 1503.08.18 (재위1492.08.11~1503.08.18) |
아라곤 왕국 (발렌시아) |
평이 갈리는 교황, 종교 개혁 직전 교황 |
III. 16세기(1501년~1600년)에 즉위한 교황
215대 비오3세부터 231대 클레멘스8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1 5 대 |
프란체스코 토데스키니 피콜로미니 Francesco Todeschini Picclomini |
비오3세 (Pius PP. III) |
1439.05.29 ~ 1503.10.18 (재위1503.09.22~1503.10.18) |
시에나 공화국 (시에나) |
개혁주의, 족벌주의와 성직매매 금지등 엄격한 규율 적용 |
2 1 6 대 |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Giuliano della Rovere |
율리오2세 (Iulius PP. II) |
1443.12.05 ~ 1513.02.21 (재위1503.10.31~1513.02.21) |
제노바 공화국 (알비솔라) |
1512년 제5차 라테라노 공의회 소집 |
2 1 7 대 |
조반니 디 로렌초 데 메디치 Giovanni di Lorenzo de' Medici |
레오10세 (Leo PP. X) |
1475.12.11 ~ 1521.12.01 (재위1513.03.09~1521.12.01) |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
메디치 가문 출신 교황, 로렌초 데 메디치의 아들 |
2 1 8 대 |
아드리안 플로렌츠 데달 Adriaan Florisz d'Edel |
하드리아노6세 (Hadrianus PP. VI) |
1459.03.02 ~ 1523.09.14 (재위1522.01.09~1523.09.14) |
신성로마제국 (위트레흐트) |
최초의 비이탈리아출신 교황(1978년 요한 바오로2세가 선출되기 전까지), 네덜란드 출신 최초 교황 |
2 1 9 대 |
줄리오 디 줄리아노 데 메디치 Giulio di Giuliano de' Medici |
클레멘스7세 (Clemens PP. VII) |
1478.05.26 ~ 1534.09.25 (재위1523.11.26~1534.09.25) |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
메디치 가문 출신 줄리아노 데 메디치의 사생아, 교황 레오10세의 사촌동생 |
2 2 0 대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Alessandro Farnese |
바오로3세 (Paulus PP. III) |
1468.02.29 ~ 1549.11.10 (재위1534.10.13~1549.11.10) |
교황령 라치오 (카니노) |
트리엔트 공의회 소집 |
2 2 1 대 |
조반니 마리아 초키 델 몬테 Giovanni Maria Ciocchi del Monte |
율리오3세 (Iulius PP. III) |
1487.09.10 ~ 1555.03.23 (재위1550.02.07~1555.03.23) |
교황령 (로마) |
재위기간동안 통치에 관심없이 빌라 줄리아에서 안정된 삶 살음 |
2 2 2 대 |
마르첼로 체르비니 Marcello Cervini |
마르첼로2세 (Marcellus PP. II) |
1501.05.06 ~ 1555.05.01 (재위1555.04.09~1555.05.01) |
교황령 (몬테파노) |
자신의 본명을 그대로 교황명에 사용한 마지막 교황, 재위기간22일 |
2 2 3 대 |
잔 피에트로 카라파 Gian Pietro Carafa |
바오로4세 (Paulus PP. IV) |
1476.06.28 ~ 1559.08.18 (재위1555.05.23~1559.08.18) |
나폴리 왕국 (나폴리) |
1524년 테아티노회 창설, 엄격한 금욕주의적 독재통치 |
2 2 4 대 |
조반니 안젤로 데 메디치 Giovanni Angelo de Medici |
비오4세 (Pius PP. IV) |
1499.03.31 ~ 1565.12.09 (재위1559.12.25~1565.12.09) |
밀라노 공국 (밀라노) |
1562년 트리엔트 공의회 재개 후 1563년 18년간 열린 공의회 폐회 |
2 2 5 대 |
안토니오 기슬리에리 Antonio Ghislieri |
비오5세 (Pius PP. V) |
1504.01.17 ~ 1572.05.01 (재위1566.01.07~1572.05.01) |
밀라노 공국 (보스코) |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레판토해전 승리 |
2 2 6 대 |
우고 본콤파니 Ugo Boncompagni |
그레고리오13세 (Gregorius PP. XIII) |
1502.01.07 ~ 1585.04.10 (재위1572.05.13~1585.04.10) |
교황령 (볼로냐) |
1582년 그레고리력 개정 |
2 2 7 대 |
펠리체 페레티 Felice Peretti |
식스토5세 (Sixtus PP. V) |
1521.12.13 ~ 1590.08.27 (재위1585.04.24~1590.08.27) |
교황령 (그로탐마레) |
트리엔트 공의회 정신 계승, 추기경 숫자 70명 제한 규정, 교황청 성 설치와 함께 성 장관직 설치 |
2 2 8 대 |
조반니 바리스타 카스타냐 Giovanni Battista Castagna |
우르바노7세 (Urbanus PP. VII) |
1521.08.04 ~ 1590.09.27 (재위1590.09.15~1590.09.27) |
교황령 (로마) |
최초로 공공장소 금연 정책 시행, 역대 교황중 가장 짧은 재위기간 보유(12일) |
2 2 9 대 |
니콜로 스폰드라티 Niccolo Sfondrati |
그레고리오14세 (Gregorius PP. XIV) |
1535.02.11 ~ 1591.10.16 (재위1590.12.05~1591.10.15) |
밀라노 공국 (솜마 롬바르도) |
프랑스 위그노 전쟁 카톨릭 세력 지지, 프랑스 왕 앙리4세 파문 |
2 3 0 대 |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 데 누체 Giovanni Antonio Facchinetti |
인노첸시오9세 (Innocentius PP. IX) |
1519.07.20 ~ 1591.12.30 (재위1591.10.29~1591.12.30) |
교황령 (볼로냐) |
프랑스 위그노 전쟁 카톨릭 세력에 교황군 참전, 재위기간 2개월 |
2 3 1 대 |
이폴리토 알도브란디 Ippolito Aldobrandini |
클레멘스8세 (Clemens PP. VIII) |
1536.02.24 ~ 1605.03.03 (재위1592.01.30~1605.03.03) |
교황령 (파노) |
조르다노 브루노 화형 선고, 외교전 |
IV. 17세기(1601년~1700년)에 즉위한 교황
232대 레오11세부터 242대 인노첸시오12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3 2 대 |
알레산드로 오타비아노 데 메디치 Alessandro Ottaviano de' Medici |
레오11세 (Leo PP. XI) |
1535.06.02 ~ 1605.04.27 (재위1605.04.01~1605.04.27) |
피렌체 공국 (피렌체) |
메디치 가문, 교황 레오10세의 조카 |
2 3 3 대 |
카밀로 보르게세 Camillo Borghese |
바오로5세 (Paulus PP. V) |
1552.09.17 ~ 1621.01.28 (재위1605.05.16~1621.01.28) |
교황령 (로마) |
1615년 에도 막부 하세쿠라 쓰네나가 사절단 맞이, 로마 건설에 집중 |
2 3 4 대 |
알레산드로 루도비시 Alessandro Ludovisi |
그레고리오15세 (Gregorius PP. XV) |
1554.01.09 ~ 1623.07.08 (재위1621.02.09~1623.07.08) |
교황령 (볼로냐) |
30년전쟁(1618~1648)에서 신성로마황제 페르디난트2세와 카톨릭연맹 지원 |
2 3 5 대 |
마페오 바르베리니 Maffeo Barberini |
우르바노8세 (Urbanus PP. VIII) |
1568.04.05 ~ 1644.07.29 (재위1623.08.06~1644.07.29) |
피렌체 공국 (피렌체) |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재판에 세운 인물 , 성 베드로 대성당 완공 |
2 3 6 대 |
조반니 바티스타 팜필리 Giovanni Battista Pamphili |
인노첸시오10세 (Innocentius PP. X) |
1574.05.06 ~ 1655.01.07 (재위1644.09.15~1655.01.07) |
교황령 (로마) |
얀센주의를 루터주의와 유사한 이단으로 규정, 파르마 공국과의 마찰 |
2 3 7 대 |
파비오 키지 Fabio Chigi |
알렉산데르7세 (Alexander PP. VII) |
1599.02.13 ~ 1667.05.22 (재위1655.04.07~1667.05.22) |
토스카나 대공국 (시에나) |
성 베드로 광장 완공, 청나라 제사 신자들에게 허용 |
2 3 8 대 |
줄리오 로스필리오시 Giulio Rospigliosi |
클레멘스9세 (Clemens PP. IX) |
1600.01.28 ~ 1669.12.09 (재위1667.06.20~1669.12.09) |
토스카나 대공국 (피스토이아) |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베네치아인 보호, 빈민 구휼에 우선주의 |
2 3 9 대 |
에밀리오 보나벤투라 알티에리 Emilio Bonaventura Altieri |
클레멘스10세 (Clemens PP. X) |
1590.07.13 ~ 1676.07.22 (재위1670.04.29~1676.07.22) |
교황령 (로마) |
농업 개선, 오스만 제국 침공받은 폴란드 지원 |
2 4 0 대 |
베네데토 오데스칼키 Benedetto Odescalchi |
인노첸시오11세 (Innocentius PP. XI) |
1611.05.19 ~ 1689.08.12 (재위1676.09.21~1689.08.12) |
밀라노 공국 (코모) |
프랑스 성직자 선언 칙령(갈리아 신조, 1682), 프랑스 왕 루이14세와의 갈등 |
2 4 1 대 |
피에트로 비토 오토보니 Pietro Vito Ottoboni |
알렉산데르8세 (Alexander PP. IX) |
1610.04.22 ~ 1691.02.01 (재위1689.10.06~1691.02.01)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얀센파 31개항 단죄, 프랑스와 신성로마제국사이 외교 |
2 4 2 대 |
안토니오 피냐텔리 Antonio Pignatelli |
인노첸시오12세 (Innocentius PP. XII) |
1615.03.13 ~ 1700.09.27 (재위1691.07.12~1700.09.27) |
나폴리 왕국 (스피나촐라) |
프랑스 왕 루이14세 설득해 프랑스 성직자 대회 4개조항 철회로 합의후 관계개선 |
V. 18세기(1701년~1800년)에 즉위한 교황
243대 클레멘스11세부터 250대 비오6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4 3 대 |
조반니 프란체스코 알바니 Giovanni Francesco Albani |
클레멘스11세 (Clemens PP. XI) |
1649.07.23 ~ 1721.03.19 (재위1700.11.23~1721.03.19) |
교황령 (우르비노) |
동양 조상 제사문화 금지로 인한 천주교 박해 시작, 합스부르크 제국의 공격과 위트레흐트 조약(1713) |
2 4 4 대 |
미켈란젤로 데 콘티 Michelangelo de' Conti |
인노첸시오13세 (Innocentius PP. XIII) |
1655.05.13 ~ 1724.03.07 (재위1721.05.08~1724.03.07) |
교황령 (라치오 폴리) |
얀센파 반대, 예수회, 교황령 축소 |
2 4 5 대 |
피에트로 프란체스코 오르시니 Pietro Francesco Orsini |
베네딕토13세 (Benedictus PP. XIII) |
1649.02.02 ~ 1730.02.21 (재위1724.05.29~1730.02.21) |
나폴리 왕국 (그라비나) |
얀센파 강경 반대, 로마 지방 공의회 개최(1725) |
2 4 6 대 |
로렌초 코르시니 Lorenzo Corsini |
클레멘스12세 (Clemens PP. XII) |
1652.04.07 ~ 1740.02.06 (재위1730.07.12~1740.02.06 |
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 |
프리메이슨 파문, 선교 정책 시행, 청나라 제사 의식 금지 |
2 4 7 대 |
프로스페로 로렌초 람베르티니 Prospero Lorenzo Lambertini |
베네딕토14세 (Benedictus PP. XIV) |
1675.03.31 ~ 1758.05.03 (재위1740.08.17~1758.05.03 |
교황령 (볼로냐) |
교황령 간접자본 개선, 유물 발굴, 로마 기독교 고문서 박물관 창설 |
2 4 8 대 |
카를로 델라 토레 레초니코 Carlo della Torre Rezzonico |
클레멘스13세 (Clemens PP. XIII) |
1683.03.07 ~ 1769.02.02 (재위1758.07.06~1769.02.02)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예수회 추방 운동 |
2 4 9 대 |
조반니 빈첸초 안토니오 간가넬리 Giovanni Vincenzo Antonio Ganganelli |
클레멘스14세 (Clemens PP. XIV) |
1705.10.31 ~ 1774.09.22 (재위1769.05.19~1774.09.22) |
교황령 (리미니) |
1773년 칙서 'Dominus ac Redemptor'로 예수회 해산 |
2 5 0 대 |
조반니 안젤로 브라스키 Giovanni Angelo Braschi |
비오6세 (Pius PP. VI) |
1717.12.25 ~ 1799.08.29 (재위1775.02.15~1799.08.29) |
교황령 (체세나) |
프랑스 대혁명 단죄, 1798년 나폴레옹의 프랑스 군에 의해 축출됨 |
VI. 19세기(1801년~1900년)에 즉위한 교황
251대 비오7세부터 256대 레오13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5 1 대 |
바르나바 니콜로 마리아 루이지 치아라몬티 Barnaba Niccolò Maria Luigi Chiaramonti |
비오7세 (Pius PP. VII) |
1742.08.14 ~ 1823.08.20 (재위1800.03.14~1823.08.20) |
교황령 (체세나) |
나폴레옹1세 황제 대관식 집전, 이후 나폴레옹에게 축출(1809~1814) |
2 5 2 대 |
안니발레 세르마테이 델라 젠가 Annibale Sermattei della Genga |
레오12세 (Leo PP. XII) |
1760.08.22 ~ 1829.02.10 (재위1823.09.28~1829.02.10) |
교황령 (파브리아노) |
성직자들의 윤리, 규율 강조, 프리메이슨과 카르보나리 반대, 유럽 열강들의 식민지 확장 반대 |
2 5 3 대 |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카스틸리오니 Francesco Saverio Castiglioni |
비오8세 (Pius PP. VIII) |
1761.11.20 ~ 1830.12.01 (재위1829.03.31~1830.12.01) |
교황령 (친골리) |
1829년 칙서 'Litteris altero'로 프리메이슨 단죄, 온건 통치 |
2 5 4 대 |
바르톨로메오 알베르토 카펠라리 Bartolomeo Alberto Cappellari |
그레고리오16세 (Gregorius PP. XVI) |
1765.09.18 ~ 1846.06.01 (재위1831.02.02~1846.06.01) |
베네치아 공화국 (벨루노) |
수차례 반란 공포적 탄압, 군사력과 건축에 많은 투자로 교황령 재정 악화 |
2 5 5 대 |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 | 비오9세 (Pius PP. IX) |
1792.05.13 ~ 1878.02.07 (재위1846.06.16~1878.02.07) |
교황령 (세니갈리아) |
제1차 바티칸 공의회(1869~1870)소집, 역대 교황 재위기간 2번째로 김(1위 베드로, 2위 비오9세) |
2 5 6 대 |
조아키노 빈첸초 라파엘레 루이지 페치 Gioacchino Vincenzo Raffaele Luigi Pecci |
레오13세 (Leo PP. XIII) |
1810.03.02 ~ 1903.07.20 (재위1878.02.20~1903.07.20) |
프랑스령 교황령 (아나니) |
'노동자의 교황', 역대 네번째로 재위기간이 긴 교황(25년 5개월) |
VII. 20세기(1901년~2000년)에 즉위한 교황
257대 비오10세부터 264대 요한 바오로2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5 7 대 |
주세페 멜키오레 사르토 Giuseppe Melchiorre Sarto |
비오10세 (Pius PP. X) |
1835.06.02 ~ 1914.08.20 (재위1903.08.04~1914.08.20) |
오스트리아 제국령 이탈리아 (리에세) |
모더니즘 단죄, 그레고리오 성가 장려 |
2 5 8 대 |
자코모 델라 키에사 Giacomo della Chiesa |
베네딕토15세 (Benedictus PP. XV) |
1854.11.21 ~ 1922.01.22 (재위1914.09.03~1922.01.22) |
샤르데냐 왕국 (제노바) |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평화 중재 |
2 5 9 대 |
아킬레 암브로조 다미아노 라티 Achille Ambrogio Damiano Ratti |
비오11세 (Pius PP. XI) |
1857.05.31 ~ 1939.02.10 (재위1922.02.06~1939.02.10) |
오스트리아 제국령 밀라노현 (데시오) |
바티칸 시국 설립 라테라노 조약 서명 |
2 6 0 대 |
에우제니오 마리아 주세페 조반니 파첼리 Eugenio Maria Giuseppe Giovanni Pacelli |
비오12세 (Pius PP. XII) |
1876.03.02 ~ 1958.10.09 (재위1939.03.02~1958.10.09) |
이탈리아 왕국 (로마)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직접 평화 중재, 홀로코스트로부터 유대인 구출 |
2 6 1 대 |
안젤로 주세페 론칼리 Angelo Giuseppe Roncalli |
요한23세 (Ioannes PP. XXIII) |
1881.11.25 ~ 1963.06.03 (재위1958.10.28~1963.06.03) |
이탈리아 왕국 (소토일몬테) |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소집, 쿠바 미사일 위기(1962)때 평화 중재 |
2 6 2 대 |
조반니 바티스타 엔리코 안토니오 마리아 몬티니 Giovanni Battista Enrico Antonio Maria Montini |
바오로6세 (Paulus PP. VI) |
1897.09.26 ~ 1978.08.06 (재위1963.06.21~1978.08.06) |
이탈리아 (콘체시오) |
1965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회 |
2 6 3 대 |
알비노 루치아니 Albino Luciani |
요한 바오로1세 (Ioannes Paulus PP. I) |
1912.10.17 ~ 1978.09.28 (재위1978.09.03~1978.09.28) |
이탈리아 (카날레다고르도) |
최초의 두개의 이름을 합한 교황 |
2 6 4 대 |
카롤 유제프 보이티와 Karol Józef Wojtyła |
요한 바오로2세 (Ioannes Paulus PP. II) |
1920.05.18 ~ 2005.04.02 (재위1978.10.16~2005.04.02) |
폴란드 (바도비체) |
최초의 폴란드 출신 교황, 1522년 하드리아노6세 이후 최초 비이탈리아인 교황, 역대3번째로 재위기간이 김(27년) |
VIII. 21세기(2001년~현재)에 즉위한 교황
265대 베네딕토16세부터 267대 레오14세까지.
대수 | 본명 | 교황명 (라틴어) |
생몰년도 (재위기간) |
출신 국가 (도시) |
비고 |
2 6 5 대 |
요제프 알로이지우스 라칭거 Joseph Aloisius Ratzinger |
베네딕토16세 (Benedictus PP. XVI) |
1927.04.16 ~ 2022.12.31 (재위2005.04.24~2013.02.27) |
바이마르 공화국 바이에른주 (마르크틀암인) |
전세계 학생들에게 장학금 기부하는 단체 라칭거 재단창설자, 2013년에 598년만에 그레고리오12세이후 중도사퇴한 교황 |
2 6 6 대 |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Jorge Mario Bergoglio |
프란치스코 (Franciscus PP. ) |
1936.12.17 ~ 2025.04.21 (재위2013.03.13~2025.04.21)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최초의 아메리카 대륙 출신 교황, 아르헨티나 출신 최초 교황, 남반구 출신 최초 교황 |
2 6 7 대 |
로버트 프랜시스 프리보스트 Robert Francis Prevost |
레오14세 (Leo PP. XIV) |
1955.09.14 ~ (재위2025.05.08~현직)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최초의 미국인 교황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