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파붕괴 2

5. 알파붕괴

(3) 알파선 발생(3-1)L'introduction주기율표상에서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핵자 상호간 결합력이 떨어지는 성향으로 인해, 알파입자를 방출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추구하는 과정이 알파붕괴(프: désintégration α, 영: α-decay). 물론 질량수가 어느정도 되어야 함(Z>74)일반적인 N=A-Z개인 원자핵의 질량은위 식으로 표현되는데, 원자핵이 알파붕괴를 한 후 질량수가 4만큼 감소(A-4), 원자번호가 2만큼 감소(Z-2)함을 적용하면,형태로 나타난다. (3-2) 알파선의 에너지(Énergie de désintégration α)알파붕괴 전후의 질량은 서로 보존되지않고, 붕괴후 질량결손이 난 만큼 알파입자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됨.알파붕괴로 생기는 에너지 Q는, 알파입자와 핵은 서로 반..

RI 이론/방사선 2024.05.13

2. 방사능 - 방사성붕괴 알파/베타/감마

방사성 붕괴보통은 자연스러운건 불안정한 원소가 많은데, 핵종의 수로서 안정성과 불안정성은 양성자수와 중성자수의 비로 결정이 된다.질량이 작은 가벼운 원자핵에서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는 거의 비슷하거나 같지만(ex, 주기율표 20번까지) 이상으로 원자핵이 무거워지면 보통 중성자수가 양성자수보다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질량수가 커지면 (+)전하를 가진 양성자끼리의 반발력이 커짐에 따라 전기적인 척력이 발생하며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그 반발력을 약화시키기 위해서 중성자의 수가 많아진다.보통 양성자수나 중성자수가 많아지면 원자핵은 불안정해지는데, 이를 타파하기 위해 과잉된 양,중성자가 전자를 원자핵 밖으로 방출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을  β+, β-붕괴라고 한다이러한 불안정한 핵종이 자연적으로 안정한 핵종..

RI 이론/방사능 2024.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