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량결손 2

5. 알파붕괴

(3) 알파선 발생(3-1)L'introduction주기율표상에서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핵자 상호간 결합력이 떨어지는 성향으로 인해, 알파입자를 방출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추구하는 과정이 알파붕괴(프: désintégration α, 영: α-decay). 물론 질량수가 어느정도 되어야 함(Z>74)일반적인 N=A-Z개인 원자핵의 질량은위 식으로 표현되는데, 원자핵이 알파붕괴를 한 후 질량수가 4만큼 감소(A-4), 원자번호가 2만큼 감소(Z-2)함을 적용하면,형태로 나타난다. (3-2) 알파선의 에너지(Énergie de désintégration α)알파붕괴 전후의 질량은 서로 보존되지않고, 붕괴후 질량결손이 난 만큼 알파입자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됨.알파붕괴로 생기는 에너지 Q는, 알파입자와 핵은 서로 반..

RI 이론/방사선 2024.05.13

5. 원자의 결합에너지/핵력

3. 결합에너지결합에너지는 원자핵을 양성자와 중성자로 다시 떼어놓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임. 비결합에너지(핵자당 결합에너지) 결합에너지에 핵자수를 나눈 것임.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핵자(양성자,중성자)는 강한 핵력으로 결합되어있는 상태인데, 이상태가 독립된상태로 있는 것보다 퍼텐셜에너지가 낮으므로 안정된 상태이다.결합에너지가 클수록 원자핵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원자 번호가 다른 원소들의 안정/불안정성은 단순하게 결합에너지로 비교하면 안되어서, 핵자당 결합에너지를 비교하여 안정/불안정성을 비교하는게 낫다.핵자의 결합에너지는 원소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철 Fe에서 그 값이 최대가 되고, 원자번호숫자가 커질수록 점점 값이 떨어진다.x축 질량수 20이상이면 비결합에너지는 거의 일정해지고, A=60부근에서 가장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