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접목적어 2

라틴어 여격

Dativus '여격' 주격같이 주어의 주짜 돌림으로서 나름 제목을 보기만해도 어떤 형태의 격이겠구나 하고 느끼겠지만 그외의 격들은 사실 제목만봐서는 감이 잘 안잡힐 것이다.  특히 라틴어같이 현재에 쓰이고있지 않은 언어에 대해서 말이다. 그래서 격과 격 상호간 차이가 명백히 드러나는 것을 2가지 골라서 비교해보면서 익혀보는게 아무래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몇글자 나열해보고자 한다 여격-대격대격이 직접목적어라면 여격은 간접목적어.문장의 '간접목적어' 역할로서, 소유, 대상자, 관점에 따라 형태가 다름.영어로 치면 4형식 수여동사 뒤에 위치하는 형태이기도하다 여격은 대격과 탈격과 같이 주로 수식을 해주는 형태이므로, 동사나 전치사에 관련이 많은 격이기도 함. 여격에 지배를 받는 3가지 형태에 대해서 ..

라틴어/격변화 2024.06.22

라틴어 대격

Accusativus문장의 목적어 중에서도 '직접목적어'를 의미하는 격. 영어의 목적격과 동일. 타동사가 수반될 시 적용해야하는 격. 대부분 -m으로 끝나며, 명사의 격을 지배하는 전치사의 뒤에 따라와 "전치사의 목적어"로도 사용되고, 주격과 마찬가지로 단수, 복수 형태를 구분해야 함.1변화 남/여 2변화 남/여 2변화 중성 3변화 남/여 3변화 중성 4변화 남/여 4변화 중성 5변화 남/여 주격 (주어) ausum  usues 속격 (소유격) aeiisusei 여격 (간접목적어) aeoiuiuei▶대격 (직접목적어) amumem umuem 탈격 (전치사) aoeiue 1변화 남/여 2변화 남/여 2변화 중성 3변화 남/여 3변화 중성 4변화 남/여 4변화 중성 5변화 남/여 주..

라틴어/격변화 2024.05.04